귀농귀촌 교육생들이 교육을 받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경기농기원
지난해 농촌이나 어·산(山)촌으로 돌아간 가구가 전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그러나 가장이 먼저 농촌이나 어·산(山)촌으로 돌아가 터를 닦고 나중에 가족들이 합류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등 ‘귀농 트렌드’가 변화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25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 자 수는 46만645명으로 전년인 2018년보다 2만9,685명, 6.1% 감소했다. 정부는 지난해 총 인구이동 수가 7,104명으로 4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 귀농어·귀촌자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또 혁신도시 지방이전 종료, 1인 가구 이동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측면도 있다. 김정희 농림축산식품부 농업정책국장은 “농촌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베이비 부머를 포함한 은퇴 연령층 증가 등으로 귀농·귀촌 흐름은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30대 이하 귀촌 가구 비중은 지난해 44.3%로 전년 43.8%보다 5% 포인트 늘었다. 또 60대 이하 귀농 가구의 비중 역시 같은 기간 28.3%에서 30.3%로 증가했다.
특히 가구주(가장)가 먼저 귀농·귀촌을 하고 이후 다른 가족들이 합류하는 경향이 늘었다. 실제 1인 귀농가구의 비중은 2018년 68.9%에서 지난해 72.4%로 증가했다. 귀농 가구주 가운데 68.9%는 남자, 평균 연령은 55세로 조사됐다. 김 국장은 “귀농 가구에 대한 실태조사를 보면 가구주가 귀농·귀촌을 우선적으로 하고 추후 가구원이 합류하는 경향이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경향은 실제 귀농을 준비하는 데 평균 25.1개월이 걸릴 정도로 ‘신중한 귀농’이 증가하고 있고, 귀농 지역 역시 전통적인 농업지역을 선호하는 통계에서도 확인 가능하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다.
정부는 올해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해 농업 일자리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초기 자금이 부족한 청년 창업농을 위해 월 최대 100만원의 지원금을 최장 3년 동안 지원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지, 주택 등 수요 맞춤형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조양준기자 mryesandn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