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서경 우주포럼’ 패널리스트.
“스페이스X조차 미국 정부와 항공우주국(NASA·나사)의 인력·인프라 등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면서도 지금의 빛나는 성공이 있기까지는 수십 차례의 발사실패가 있었습니다.”
초소형 위성시스템 제작 서비스 벤처기업인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의 박재필 대표는 “우리나라는 ‘뉴 스페이스’를 패러다임의 변화가 아니라 기존 우주 개발 중 하나의 세부항목으로 취급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기존의 ‘올드 스페이스’보다 값싸고 손쉬운 우주 개발 기술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그는 “올드 스페이스에 포함되지 않았던 기술, 기업, 일반 소비자 등을 하나로 아우르는 우주 생태계의 확장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적으로 ‘뉴 스페이스’ 시대가 열리고 있지만 우리나라가 아직 그 기회를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뉴 스페이스 시대가 열리는 것은 발사체 비용과 위성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가 우주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산업화로 전환하거나 전 지구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경영의 기본 자료로 활용하는 노력은 아직도 미미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3년 전만 해도 지구 상공 500㎞ 궤도에 1.5톤 위성을 올리는 데 1,200억원이 들었으나 현재는 600억~700억원으로 줄었고 10년 내 300억원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여기에 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로 기존 위성의 규모가 점점 작아지고 초소형 군집위성의 활용도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 교수는 “우주발사체와 위성 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 확보 위주로 진행하는 우리나라 우주 개발의 방향이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빅데이터 저장센터가 필요하며 정보를 1차 가공하고 분석해 원하는 민간이나 정부에 공급하는 인프라가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현재는 다목적위성이나 소형위성에서 수집한 상당한 영상정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전했다.
강경인 한국연구재단 우주기술단장은 “현재 개발 중이거나 계획이 확정된 사업, 한국형 항법시스템 등 새로 기획되는 사업을 보면 정부가 수요를 만들어 산업화를 촉진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며 “하지만 초기 우주 개발 시점의 기업 참여 정도에 비해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기업도 우주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한 최적화된 기술 개발을 통해 스스로 저비용의 시스템 구축 능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경제와 안보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통신방송위성·관측위성·항법위성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류장수 AP위성㈜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 플랫폼산업이나 앞으로 자율주행산업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우주산업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며 “70여개국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해 위성 활용을 늘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관측위성 개발사업에 주력하느라 통신방송위성 국산화 개발은 본격화하지 않았고 항법위성 발사도 오는 2034년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뒤져 있다는 것이다.
송경민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장(㈜케이티샛 대표)은 “정부사업에서 우주 기업이 재투자할 수 있게 적정한 이윤을 마련해줘야 한다”며 “장기 계약을 통해 기업이 전문인력을 유지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게 필요하다”고 힘줘 말했다. 이어 “정부가 후발국에 마케팅하고 정부 간 대규모 사업을 성사시키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우주 관련 부서를 확대하고 각 부처의 우주사업을 총괄하는 가칭 ‘우주청’ 신설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채장수 KAIST 인공위성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공공수요를 발굴하거나 민간기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나아가게 도와야 한다”며 “정부는 현재 연구개발(R&D) 중심의 체계에서 벗어나 우주탐사 분야, 고위험성 사업, 국가 안보 등 선도기술·인력양성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낙현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과장은 “우주 개발이 군사나 안보, 국가 위상 제고가 주목적이었다면 이제는 우주 인터넷, 우주여행과 같은 상업적 가치 창출이 주요 목적이 되고 있다”며 “불필요한 규제를 개선하고 기술 개발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별도의 법령 제정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정부는 핵심 우주기술의 국산화를 지원하는 ‘스페이스파이오니어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지난 4월 통과시켰고 ‘초소형위성 개발 로드맵’도 수립하기로 했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