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앞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잠재성장률 하락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코로나19 위기에서 벗어나더라도 가계·기업·정부 등은 이전 모습으로 돌아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덧붙였다.
29일 한은은 ‘코로나19 이후 경제구조 변화와 우리 경제 영향’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로 노동·교역·산업 등 경제구조가 변하고 노동·자본요소 투입이 부진해 잠재성장률 하락 추세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로 경제활동참가율이 떨어지고 구조적 실업률 상승이 장기화되면서 전반적인 노동투입이 둔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교역 둔화, 전통적 제조업과 서비스업 위축으로 투자회복이 늦춰짐에 따라 자본의 성장기여도 하락 추세도 강화될 것으로 봤다. 다만 정보통신기술(ICT)산업 투자 확대에 따른 생산성 향상으로 성장률 하방압력을 상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은은 개별 경제주체에 대한 분석 결과도 내놓았다. 먼저 가계는 코로나19로 인한 실업, 소득 감소, 경제·사회활동 제약 등을 겪으면서 위험회피 성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예비적 저축 유인이 증대되고 비대면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던 개인도 불가피하게 디지털경제에 적응해야 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업은 재고비용 절감 등 효율성 이외에도 불확실성에 대비한 복원력 등에 무게를 둘 것으로 예측했다. 노동의존도를 줄이면서 자동화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 불확실성 상시화에 대한 우려로 과감한 투자가 이뤄지기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 역할은 확대될 것으로 관측했다. 자국 이익 우선, 사회안전망 강화 등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높아지면서 이를 뒷받침하려는 정부 의지도 강화될 것이라는 해석이다. 특히 역사적으로 정부의 역할이 확대될 경우 이전 수준으로 쉽게 줄어들지 못하는 경향이 관찰된다는 내용도 덧붙였다.
한은은 물가에 대해서는 예비적 저축 유인 증대, 디지털경제 가속화에 따른 하방압력으로 저인플레이션 추세가 지속될 수 있다고 봤다. 다만 글로벌 유동성 누증이나 글로벌 공급망 약화로 인한 상승압력도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지원기자 jw@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