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공급된 공공 임대주택 가운데 다가구 매입 임대주택의 공실이 5곳 중 1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파트 임대주택 공실률은 5% 이하다. 임대주택 역시 아파트에 수요가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은 서울경제가 입수한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공급현황’ 자료에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수요를 고려해 임대주택 공급 정책도 아파트에 더욱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충고한다.
29일 서울경제가 입수한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공급현황’에 따르면 현재 서울에서 올 6월까지 공급된 다가구매입 임대주택 1만 8,568가구 가운데 공실로 남아있는 가구는 3,649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실률은 19.65%에 이른다. 10가구 중 2가구가 공실인 셈이다.
다가구 매입임대주택은 서울시가 기존 다가구 주택 등을 매입해 입주 대상자에게 최대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의 한 유형이다. 다가구 매입임대주택의 공실률은 다른 유형의 공공임대주택과 비교할 때 유달리 높은 편이다. 재개발 아파트를 매입해 공급하는 재개발 임대의 경우 공실률이 4.90%이며, 국민임대도 4.63%로 5%를 넘지 않는다. 장기전세 주택의 경우 공실률이 1.17%에 불과하며 심지어 저소득층이 대상인 영구임대의 경우 공실률이 0.67%로 1%에도 미치지 않고 있다.
다가구 매입임대 주택만 유독 20% 가까운 공실이 발생하는 이유를 두고 전문가들은 주택 시장의 아파트 선호도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 재개발 매입 임대나 장기전세, 공공임대, 국민임대, 영구임대 등 다른 형태의 공공임대주택은 아파트 임대주택이다.
SH공사 관계자는 다가구 임대주택의 공실률과 관련 “일차적으로 입주 대상자들이 아파트를 선호하는 이유가 크다”며 “대상자들이 수급자나 장애인, 한 부모 가정 등이라 아파트 임대주택에도 입주 자격이 되는 만큼 다가구 임대주택에서 살다가 아파트 임대로 들어가기도 한다”고 전했다.
반면 서울시나 정부의 임대주택 공급 정책은 다가구 매입 등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주거 수요가 아파트에 집중된 만큼 이에 대응한 주택 공급 정책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흥록·박윤선기자 rok@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