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원생 남매 2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가운데 6일 오전 광주 동구청 주차장에 마련된 임시 드라이브스루 선별진료소에서 동구보건소 직원들이 확진자가 나온 어린이집 원생들과 가족들을 대상으로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 /광주=연합뉴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이 확산한 지난 3~4월 수도권에 전년 같은 기간보다 두 배 넘는 인구가 유입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 침체 국면에서는 일자리가 남아있는 대도시로의 인구 유입이 촉발된다. 코로나 19가 ‘지방 소멸’을 앞당기는 원인이 될 수 있는 셈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이 6일 발간한 ‘포스트 코로나 19와 지역의 기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4월 수도권 순유입 인구는 2만7,500명으로 전년 동기(1만2,800명) 대비 2.15배 증가했다. 올해 3~4월의 수도권 순유입 인구는 지난 1~2월(2만8,200명)과 유사한 수준이다. 통상적으로 연초 전월세 임대계약의 종료·입학·취업 등으로 인구 이동이 증가하다가 3월을 지나며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추세와도 달라 코로나 19가 수도권 순유입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수도권 3개 광역지자체별로 분석하면 경기도에 4만2,309명이 순 유입돼 전년 동기(1만9,576명) 두 배 넘는 인구가 몰렸다. 서울은 1만521명이 빠져나갔지만 이중 경기도로 주소를 옮긴 사람이 2만2,670명에 달해 사실상 나머지 15개 광역지자체에서 유입된 사람이 1만2,148명에 달한 셈이다.
수도권 유입 인구의 대부분은 20대가 차지했다. 지난 3~4월 수도권 유입인구 중 20대가 2만741명으로 전체의 75.5%를 차지했다. 청년층의 이동은 지자체의 소멸 우려를 늘리는 핵심 원인이다. 실제로 올해 5월 기준으로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228곳 중 소멸 위험 지역은 105곳으로 작년 동기(93곳)보다 12곳 증가했다. 소멸 위험 지역은 20∼2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로 나눈 소멸 위험 지수가 0.5 미만인 곳으로, 저출산·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으로 볼 수 있다.
/세종=변재현기자 humbleness@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