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수출입은행·기업은행 등 국책은행들의 지방이전설에 해당 은행들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차기 대선거까지 1년 6개월가량 남은 상황에서 벌써부터 여권을 중심으로 선거철 단골공약인 지방이전설이 제기되자 이들 3인방은 “사실무근”이라면서도 연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혹시 모를 가능성에 적극 대응하는 모습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인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11인은 지난달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공공기관 신설시 위원회의 심의와 의결을 거치는 한편 공공기관들의 이전 대상 여부를 매년 심사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개정안 발의를 통해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힘을 실은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에는 구체적인 이전 지역까지 거론되고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산업은행은 원주혁신도시로, 기업은행은 대전으로, 수출입은행은 부산 BIFC로 이전하는 등의 이야기가 돌고 있다”며 “공공기관 지방 이전설이 언급된 것이 처음은 아니지만 개정안까지 발의된 상황에서 구체적인 지역까지 언급되면서 국책은행들이 긴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KDB산업은행과 기업은행·수출입은행 등 3대 국책은행 노동조합은 지방이전 루머와 관련해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이들 노조는 5월에 지방이전 저지 TF를 꾸리고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섰다. “지방이전을 단순히 정치적인 이유로 추진해서는 안 되고 필요성과 실효성을 따져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으로 사옥과 사택 등 인프라 확충에 상당한 혈세가 투입되는 만큼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기업은행 노조는 “내부적으로 지방이전과 관련한 구체적인 움직임이 없다”며 “중소기업 대부분이 수도권에 모여 있는 데다 정책금융기관으로서 금융위원회와 논의가 잦은데 지방으로 이전하게 되면 실효성이 떨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등으로 홍콩의 동북아 금융중심지 위상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서울의 금융 경쟁력을 높여 동북아 대표 금융허브 자리를 염두에 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산업은행 노조는 “홍콩과 미국 등은 금융중심지를 한곳에 모아 경쟁력을 키우는데 한국은 글로벌 시장과 정반대로 가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지윤기자 lucy@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