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병화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코스닥벤처팀장
유럽연합(EU)과 영국은 ‘2050년 탄소배출 순제로’ 정책을 확정했다. 전력은 100% 클린에너지, 교통 부문도 클린카만 이용해야 한다. 대부분 유럽국가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수력을 포함해 30~60% 수준이다. 유럽의 전기차 비중은 아직 5% 이하이고 오는 2030년대 중반부터는 내연기관차를 판매하지 않아야 100% 탄소배출 제로가 가능하다. 최근 영국은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시점을 기존 2040년에서 2035년으로 앞당겼다. 자동차 내구연한을 고려하면 2035년 이후부터는 내연기관차를 팔지 않아야 2050년 탄소배출 순제로를 달성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대부분 유럽국가도 2040년 이전에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할 것으로 예상한다.
유럽의 강력한 탄소배출 감축 정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강화되고 있다. 코로나 경기부양안에 재생에너지·전기차 확대 방안들이 대거 포함된 것이 이를 증명한다. 과거 경제위기 때의 경기부양정책은 기존 산업 지원에 중점을 뒀으나 이번에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 중이다. 유럽의 완성차 업체들이 탄소배출 규제를 낮춰달라고 요청했음에도 각국 정부는 전기차 구매 보조금만 대거 상향했다. 탄소배출을 낮출 수 있는 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려는 의지가 확인된 것이다.
흥미로운 것은 유럽의 탄소배출 순제로 정책 때문에 수소산업이 개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수소는 1차 에너지원이 아니라 효율이 낮고 수소생산이 선행돼야 산업이 발전할 수 있다는 어려움이 있지만 유럽은 앞장서서 수소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선언했다. 100% 재생에너지 시대를 위해서는 남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수단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독일은 전력망 손상을 막기 위해 연간 약 4억~5억유로의 재생에너지를 버리고 있다. 남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물을 분해해 수소로 저장하는 것이 정책적 정당성을 가지는 시대가 온 것이다. EU는 수소 전략을 확정 발표하고 올 하반기부터 그린수소 확보를 위한 본격적인 투자에 돌입한다.
국내 수소육성책은 수소 인프라 확충보다 수소차·수소연료전지발전에만 집중하고 있다. 유럽의 사례를 따라서 우리도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그린수소 인프라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 관련 산업들을 육성하고 기존의 강점인 수소차·수소연료전지발전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당근과 채찍을 동시에 이용해 좀 더 빠른 육성이 필요한 시점이 됐다. 투자자들은 수소산업 관련 업체에 대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주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