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대의원회의에서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노사정 대표자회의’ 합의안이 부결된 23일 저녁 김명환(오른쪽) 민주노총 위원장이 굳은 표정으로 서울 중구 사무총국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24일 ‘원포인트 사회적 대화’ 합의문 부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하겠다고 발표했다. 민주노총 지도부가 투쟁이 아닌 대화를 추진하면 소수 강경파가 반대해 결국 위원장과 지도부가 총사퇴하는 징크스는 이번에도 깨지지 않았다. 김 위원장과 김경자 수석부위원장, 백석근 사무총장으로 구성된 민주노총 지도부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지도부 총사퇴 방침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대의원대회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노사정 대표자회의’ 합의문이 대의원대회에서 부결되면 즉각 사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날 온라인으로 개최된 대의원대회에서 합의안은 대의원 과반의 찬성을 얻지 못해 부결됐다.
김 위원장은 이날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합의안 승인을 추진하는) 한 달간의 과정이 대한민국 사회에서 민주노총이 통증을 앓는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 성장통이라고 본다”며 “100만의 민주노총만을 위한 민주노총이 아니라 모든 노동자를 위한 민주노총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투쟁이 아닌 대화를 주도했던 민주노총 지도부의 수난사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외환위기 때인 지난 1998년 배석범 위원장은 2·6 노사정 대타협에 정리해고제·파견제 도입이 포함되자 조합원들의 강력한 항의를 받고 물러났다. 이듬해 민주노총은 노사정위원회에서 탈퇴했다. 2005년 이수호 위원장도 노사정위원회 참여를 추진했지만 강경파의 반발로 실패했고 결국 같은 해 10월 물러났다.
앞으로 사회적 대화는 민주노총이 빠진 채 한국노총과 경영계·정부가 참여하는 ‘5자 합의’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주 중으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본위원회를 열고 노사정 대표가 합의문 이행 의사를 밝히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변재현기자 humbleness@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