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대비하는 동남권]울산시, 수소·해상풍력으로 세계시장 개척한다

[울산형 뉴딜 계획 보니]
2025년까지 1GW 부유식 해상풍력 조성
車·선박·트램 등 수소모빌리티 육성도

현대자동차 울산5공장에서 생산되는 수소전기자동차인 ‘넥쏘’. /사진제공=현대자동차

울산시는 지난 4월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도시 인프라 투자를 강화하고 신재생에너지와 관광 분야를 집중 육성하는 내용의 휴먼·스마트·그린 뉴딜 정책을 발표했다. 정부가 지난 14일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서 ‘울산형 뉴딜’과 겹치는 그린 에너지 분야를 포함하면서 수소와 부유식 해상풍력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고 관련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수소 시범도시, 수소규제자유특구, 수소융복합 모빌리티 클러스터 등 수소산업 육성 3대 사업을 통해 세계가 주목하는 수소도시로 발돋움한다는 계획이다.

전국 최초로 수소 시범도시로 선정된 울산은 석유화학단지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를 도심 내 건물과 충전소에서 활용하기로 하고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IoT) 배관망을 구축한다. 2022년까지 진행되는 수소 시범도시 사업은 남구 여천산업단지~태화강역~북구 율동택지지구~현대자동차까지 10㎞ 길이의 수소 배관을 구축한다. 산업단지 내 수소배관을 통해 수소에너지를 공급하는 사례는 있지만 산단 바깥으로 수소배관을 깔고 활용하는 것은 울산이 유일하다. 율동택지지구 810가구의 공동주택과 인근 고교, 병원, 단독주택, 시 사업소, 복지회관 등에 전기를 공급한다. 현대차에는 전용 수소 충전소를 구축해 2025년까지 11만대에 이르는 수소 전기차를 양산한다. 관련 사업비는 290억원이다.


수소 산업과 자동차·조선·화학 등 지역 주력산업과 접목하는 수소 융복합 모빌리티 클러스터 구축 사업은 총 사업비 2,381억원이 투입된다. 울산 북구 이화산단 등에 수소 모빌리티 밸류체인을 구축하는 이 사업은 내년 상반기까지 예비타당성조사가 실시될 예정이다. 최근 울산경제자유구역이 지정되면서 사업에 탄력이 붙었다.

한국판 뉴딜 중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소 조성 사업도 울산이 선도하고 있는 분야다. 울산은 수심 200m 이내 넓은 대륙붕과 연중 평균 풍속이 초속 8m 이상인 우수한 자연조건을 갖춘데다 신고리원전과 울산화력 등의 발전소와 연결된 송·배전망 인프라, 미포산단 등 대규모 전력소비처, 세계적인 조선해양 플랜트 산업 기반 등 부유식 해상풍력 생산에 필요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같은 조건을 바탕으로 시는 2025년까지 6조원가량의 사업비를 투입해 원자력 발전소 1개 규모와 맞먹는 1기가와트(GW) 이상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고, 이후 시범운영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6GW 이상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단지 조성을 목표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시는 지난해부터 국내외 굴지의 부유식 해상풍력사업 업체 민간투자사 5곳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울산 동해가스전 인근에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에 참여하는 5개 민간투자사 한국지사의 울산 유치와 100여개 이상 서플라이 체인 업체의 울산공장 설립 등도 예상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연간 698만2,000톤의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와 함께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 계획’에 따른 해상풍력 분야 목표(12GW)의 50%(6GW)를 담당하게 되면 명실상부한 그린 에너지 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전 세계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은 오는 2030년이면 12GW까지 확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아직 해당 산업 기술이 세계적으로 상용화 초기 단계이므로 이른 시일 내 시장에 진입해 산업을 육성하고 세계 시장을 선점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울산=장지승기자 jjs@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