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물공사가 투자한 마다가스카르 토아마시나에 위치한 암바토비 플랜트 전경. 암바토비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광물인 니켈과 코발트를 생산한다. /서울경제DB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잇단 실패로 빚더미에 앉은 자원공기업들이 구조조정에 속도를 붙이고 있다. 최근 저유가 기조로 경영난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재무구조 개선의 필요성이 커진 탓이다. 일각에서는 지역사회와 노조의 눈치를 보느라 구조조정 작업이 늦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광물자원공사는 최근 공고를 내고 다음달 3일까지 사장 후보자를 접수한다. 임기는 3년으로 직무수행 실적에 따라 1년 단위 연임이 가능하다. 광물공사 임원추천위원회가 서류 및 면접 심사를 통해 사장 후보를 추천하면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최종 임명한다.
정부는 지난 2018년 광물공사와 광해관리공단을 통폐합하는 방안을 추진했고 이 과정에서 김영민 전 사장은 임기 6개월을 남겨두고 그해 5월 면직됐다. 이후 공사는 사장 직무대행 체제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정부의 통폐합 안은 지역 반발에 부딪혀 20대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폐지됐다. 그러다 최근 이장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같은 내용의 ‘한국광업공단법’을 발의하면서 통합이 재추진되고 있다.
광물공사가 2년 만에 수장 찾기에 나선 것은 광해관리공단과 통합을 서두르기 위함으로 보인다. 광물공사는 무리한 해외자원개발에 따른 부채가 급증하면서 2016년부터 자본잠식에 빠졌고 이후 재무구조 개선작업에 착수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침체로 구조조정의 핵심인 자산 매각이 차질을 빚고 있다. 자산 매각이 지연되자 국제신용평가사들이 잇달아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하면서 자금조달 창구마저 막혀가고 있다. 이에 광물공사는 재무구조가 안정적인 광해관리공단과의 통합을 통해 돌파구를 찾으려는 것이다. 산업부의 한 관계자는 “지금 당장 공사 구조조정을 진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 통폐합 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통합작업을 하는 데도 사장이 필요하다”면서 “더는 비워둘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국석유공사도 구조조정을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석유공사는 저유가로 영업이익이 급감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올해 부채비율이 7,24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간 구조조정을 통해 올해 부채비율을 500%까지 낮추겠다고 공언했으나 되레 지난해(3,021%)보다 2배 넘게 폭증하는 것이다. 광물공사와 마찬가지로 해외 자산 매각마저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 석유공사 내부에서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지만 외부 지원 없이는 한계가 분명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 등 외부 지원에 기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한국가스공사 역시 지난해 말 기준 부채 총액은 31조1,650억원, 부채비율 383%에 이른다. 캐나다 웨스트컷뱅크 가스정 사업, 이라크 아카스 가스전 등의 자원개발 사업 실패 등으로 타격을 입었다. 다만 가스공사는 기존 자산 매각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을 추진하되 해외 우량자산 신규 투자를 함께 검토할 방침이다. 다른 공사에 비해서는 재무 사정이 상대적으로 낫고 저유가 기조에 글로벌 기업들이 경제성 높은 알짜자산을 싼 가격에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신규 투자가 없을 경우 오는 2040년 해외 사업장의 생산량이 현재(2019년 기준 400만톤)보다 35%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장기 성장동력 마련을 위해서라도 해외 자산 인수가 불가피하다. 가스공사 사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이전까지 자산 매각 등 구조조정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제는 해외 신규 투자에도 힘을 싣겠다는 것”이라며 “시장에 우량자산이 나오면 인수를 검토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