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이 11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한국판 뉴딜의 한 축인 그린뉴딜을 뒷받침하기 위해 금융권과 ‘녹색금융 추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녹색금융의 제도적 기반을 확립하고 투자 여건을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손 부위원장은 11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를 열고 “정부는 민간과 금융이 참여하는 뉴딜펀드, 모험자본, 정책금융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해 디지털 인프라, 그린·바이오 등 신산업 분야에 대한 자금공급이 확대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녹색금융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추진한 이후 10여 년 만에 다시 금융권에 등장하게 됐다. 이 전 대통령은 2009년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를 출범시켰고 금융당국, 은행연합회 등 금융단체들도 ‘녹색 금융협의회’를 창립했다. 이후 금융권에서는 친환경녹색적금, 에코마일리지 등 친환경 소비활동을 하면 금리를 우대하는 등의 관련 상품을 출시했다. 하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녹색성장, 녹색금융 등의 정책은 쏙 들어갔다. 최근 정부는 그린뉴딜의 일환으로 녹색금융에 대한 언급을 자주 하고 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도 최근 “환경의 가치에 투자하는 녹색 금융과 기술 혁신을 추진하는 등 녹색 기반도 튼튼히 다지겠다”는 등 녹색금융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날 손 부위원장은 “정부는 위기를 낭비하지 않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기술, 환경변화에 맞춰 기업과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단순히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극복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이로 인해 변화하는 경제환경에 맞춰 산업의 구조 변화도 돕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손 부위원장은 “코로나19가 반년 가까이 이어지며 변화를 선도해 앞서 나가는 기업과 산업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며 “미국은 비대면 경제로의 변화가 가속화해 변화에 동참하지 못한 대형 유통업체들은 시장에서 퇴출됐지만 디지털 주문과 드론을 활용한 유통·배달 업체 등은 테크기업으로 발돋움한 사례가 있다”고 전했다.
손 부위원장은 “2008년 금융위기 극복과정에서 부각된 문제점도 반면교사 삼을 필요가 있다”며 “위기극복과정에서 증가한 기업부채는 줄지 않았고 경제적 양극화는 심화됐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위기 이후 생존한 기업들이 활력을 찾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안들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손 부위원장은 ”앞으로 본격화될 사회·경제적 구조 변화 속에서 위기가 불평등을 심화시켰던 과거의 전철을 밟지 않고 증대된 시중의 유동성과 기업의 부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등 예상되는 부작용들을 최소화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