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영기자
“지금 영업하는 대부분의 P2P 업체들은 ‘사기’라고 보면 돼요. 제대로 운영하는 곳은 정말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P2P 투자 프로젝트에 수차례 참여했던 한 자산운용사의 관계자는 더 이상 P2P에 투자하지 않기로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투자를 위해 국내 이름난 P2P업체 임직원들을 수차례 만나고 그들의 사업 계획과 대출 프로젝트를 검증해 내린 그의 결론은 ‘모두 믿을 수 없다’였기 때문이다.
P2P는 낮은 신용도, 이미 은행에서 받은 대출 등을 다양한 이유로 제1, 2금융권을 이용하지 못하는 차주에게 개인투자자로부터 십시일반 돈을 모아 돈을 빌려주는 서비스다. 투자자들에게는 안전한 재테크 수단, 대출자에게는 대안 금융으로 급부상해 세계 최초로 관련 법이 제정되기까지 했다.
그러나 기존 금융권의 사각지대에서 ‘대안금융’ ‘혁신금융’ 역할을 할 거라는 기대감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투자금을 받아 P2P업체가 대출해준 곳이 실체가 없는 ‘유령 차주’, 가짜 대출 상품을 만들어 모은 투자금으로 이전 투자자들에게 상환하는 돌려막기 등 실태가 속속 드러나면서다. 어제까지만 해도 멀쩡하게 운영해오던 중소형 업체들이 돌연 영업중단, 폐업을 선언했다. 최근에는 한 P2P 회사 대표가 직원들을 모두 해고하고 잠적하기도 했다. 제도권 금융으로 진입을 목전에 둔 P2P 업계가 첫발을 떼기도 전에 신뢰가 땅바닥에 곤두박질친 것이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최근 기자에게 ‘중국’의 사례를 언급했다. 중국은 P2P 업계가 온갖 금융범죄의 온상으로 떠오르자 지난해 P2P 업계에 모두 사업을 접고 소규모 대출회사로 전환할 것을 명령했다. 신뢰를 저버린 국내의 P2P 상황은 중국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오는 27일이면 세계 최초로 P2P법인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온투법)’이 시행돼 P2P 업계가 제도권으로 편입된다. 중국의 길을 가지 않으려면 업계가 지금이라도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변해야 한다.
/김지영기자 jiki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