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환 전 민주노총 위원장이 지난 11일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원포인트 사회적 대화’ 등 임기 동안 추진했던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성형주기자
김명환 전 민주노총 위원장이 “민주노총이 새로운 질서를 피해갈 수 없다면 당면한 상황을 직시하고 새롭게 바뀔 용기가 필요하다”면서 “제1노총이 된 만큼 투쟁만이 아니라 대화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전 위원장은 지난 11일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4차 산업혁명 심화와 플랫폼 산업의 부상으로 노동 패러다임이 바뀌는 과정에서 민주노총도 변화해야 하며 변화는 참여를 통해 가능하다”고 밝히며 이같이 강조했다. ‘원포인트 사회적 대화’ 노사정 합의 추인 실패에 책임을 지고 물러난 김 전 위원장이 사퇴 이후 언론과 인터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전 위원장은 4차 산업혁명으로 노동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사회 양극화 심화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 노동계를 둘러싼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민주노총의 변화를 강력히 주문했다. 그는 민주노총을 ‘투쟁의 큰 바퀴와 교섭의 작은 바퀴가 달린 수레’로 표현하며 “바퀴가 제대로 굴러가려면 크기가 같아야 한다”면서 “바퀴가 굴러가야 할 방향은 민주노총만 잘 먹고 잘사는 것이 아니라 ‘모든 노동자를 위한 민주노총’”이라고 강조했다.
김 전 위원장은 특히 제1노총으로 올라선 민주노총이 높아진 위상만큼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노사정 대화에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그는 “사업장·산업별 교섭뿐 아니라 사회 전체를 위한 대화가 같이 진행돼야 한다”면서 “민주노총 조합원들의 임금과 고용만을 위한 싸움이 아닌 미조직 노동자를 위한 과제를 실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어 “민주노총이 100만명의 조직이라는 공적 지위를 부여받았으면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사회적 책임이 계속 요구될 것”이라며 “노사정이 모여 있는 경기장 밖에서의 투쟁만 할 것이 아니라 경기장 안으로 들어와 사회적 대화도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전 위원장은 비정규직·청년·여성 근로자를 비롯해 특수고용·프리랜서·플랫폼근로자 등 ‘불안정고용노동자’와의 사회적 연대를 위해서도 교섭과 투쟁을 같은 비중으로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코로나19 이후와 노동 4.0이 겹쳐 벌어지는 상황은 전대미문이며 예측불허”라며 “하청·불안정노동자에게 어떤 책임을 다할지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위원장의 사퇴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한 민주노총은 오는 12월 선거를 통해 차기 지도부를 선출한다. 김 전 위원장은 “민주노총의 차기 지도부도 사회적 대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외면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민주노총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미래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변재현·허진기자 humbleness@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