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외교부를 방문한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 /연합뉴스
중국의 외교정책을 총괄하는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이 이르면 다음주 한국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양 정치국원이 방한할 경우 우리 정부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연내 방한을 본격 논의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최근 미중 갈등이 극대화된 상황에서 중국이 이를 통해 한국을 우군으로 붙잡아두는 전략을 펼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일각에서는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초청 등 미국의 강한 ‘러브콜’을 받는 상황에서 다시 한 번 한국이 ‘줄타기 외교’를 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13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 정부는 양 정치국원의 방한 일정을 두고 막판 조율하고 있다. 양 정치국원의 방한 시점은 다음주께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양 정치국원의 한국 방문은 지난 2018년 7월이 마지막이었다.
소식통에 따르면 양 정치국원은 시 주석의 특사 자격으로 이번에 서울을 찾는다. 그는 우선 방한 기간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만나 남북·북미 비핵화 협상 재개 방안과 한반도 주변 정세를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정부는 6월 북한의 개성 남북연락사무소 폭파 이후 경색된 남북관계를 전환하기 위해 중국에 적극 협조를 구할 가능성이 높다. 양 정치국원이 박지원 국정원장, 이인영 통일부 장관 등 새 외교·안보 라인과 상견례를 할 수도 있다.
반대로 양 정치국원은 최근 극에 달한 미중 갈등 국면에서 한국의 중립적 역할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최근 화웨이·틱톡 등 중국 기업을 글로벌 시장에서 고립시키고 홍콩보안법 제정을 규탄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자 ‘시 주석 방한 카드’와 ‘대북전략 역할론’을 앞세워 한국이 미국으로 기우는 상황을 일단 막으려 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양 정치국원 방한에 대해 “확인해줄 게 없다”면서도 “시 주석은 여건이 갖춰지면 방한하는 것으로 양측이 확고하게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한 중국대사관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밝힐 사항이 없다”고 말을 아끼면서도 “중한 관계에 관심을 가져주는 것에는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양 정치국원 방한 이후 미중 갈등 사이에 끼인 한국 정부의 고민은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부장관 겸 겸 대북정책특별대표는 지난달 7일부터 9일까지 한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우리 정부에 ‘반(反)중국 연합전선’ 참여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국무부는 지난달 9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비건 부장관이 한국을 방문해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와 번영에 대해 논의했다”며 “여기에는 (미국과) 같은 생각을 가진 국가들 간의 협력도 포함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훌륭한 의사결정 과정과 규범에 기반한 국제질서를 해치려는 시도에 반대하는 것도 논의 내용에 있었다”고 소개했다. 한국이 중국에 대한 반대 입장을 명확히 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이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6개월 만의 첫 해외 출장지로 독일을 선택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안한 G7 초청에 대한 독일의 지지를 끌어내기도 했다.
/윤경환기자 ykh22@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