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관을 열고 들어가면 가족이 모이는 거실이 보이고 그 옆으로는 함께 식사하는 주방이 배치돼 있다. 먼저 집에 와 있는 가족들에게 인사한 후 방으로 들어가 짐을 내려놓는다.’
현재 흔히 볼 수 있는 집의 구조이자 일터나 학교에서 돌아왔을 때 우리들의 동선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대를 겪고 난 후에도 이 같은 평면과 동선은 적합할까. 그렇지 않아 보인다. 먼저 손을 씻고 옷을 갈아입는 것이 가족들에게도 훨씬 안전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뉴노멀 시대의 집 평면은 어떻게 변할까. 이승택 에스티피엠제이건축사사무소 대표는 이에 대해 “앞으로는 각자 방으로 먼저 들어갔다 나와 거실에 모이는 구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염두에 둔 평면설계는 현실화하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난 5월 성남시 복정 1블록에 공급할 공동주택 설계공모에서는 지금의 아파트 구조와 사뭇 다른 평면구조가 나왔다.
예를 들어보자. 현관문을 열면 오른쪽에는 신발장과 건식 세면공간이 있다. 손을 씻고 나오자마자 오른쪽에 있는 드레스룸에서 옷을 갈아입는다. 그리고는 곧장 샤워가 가능하도록 맞은편에 욕실을 배치했다. 여기까지의 공간은 중문으로 내부 공간과 구분된다. 거실에 들어가려면 중문을 열어야 하며 거실로 가기 전에는 세탁실이 있다. 외부 바이러스나 세균으로부터 나 자신은 물론 가족들도 보호하기 위한 평면구조인 셈이다.
코로나19로 바뀌는 것은 아파트 평면뿐이 아니다. 집의 의미도 획기적으로 달라진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집은 휴식공간뿐 아니라 업무와 스포츠·레저를 즐기는 생업과 생활공간이 되기도 한다. 아울러 비대면 경제가 부상하면서 가속된 온라인 소비행태를 반영하는 거점 기능도 집이 담당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김기훈 국토교통부 서기관은 이와 관련해 6월 열린 포스트 코로나 심포지엄에서 “온라인 경제와 재택근무 활성화로 업무와 소비 방식이 변화될 것으로 예측한다”며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 이에 따른 서비스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시 역시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간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현재의 고밀 집적보다 개개인이 누릴 공공의 공간이 넓어져야 하며 증가하는 온라인 물류를 수용할 수 있는 교통 인프라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장운규 국민대 건축학과 교수는 “건축은 삶을 담아내고 변화시키는 그릇”이라며 “코로나19로 건축과 도시의 프로토타입(원형)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뉴노멀 시대의 공간 변화가 시작됐다. /김흥록기자 rok@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