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연방준비제도 본부 /로이터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대응을 위해 세계 각국이 지출을 늘리며 선진국 부채 규모가 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으로 불어났다.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인용해 7월 선진 경제 국가들의 부채가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28% 수준으로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6년 124%를 기록한 이후 가장 큰 규모다.
문제는 2차 대전 당시에는 급속한 경제성장 덕분에 선진국 부채가 빠른 속도로 줄었지만, 이번에는 그렇게 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1946년 GDP 대비 124%를 기록했던 주요국 부채 비율은 1959년 50% 미만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오늘날 인구구조와 기술, 느린 성장속도 등을 고려하면 코로나19 사태 이후에도 빠른 회복이 일어날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WSJ의 분석이다.
보도에 따르면 과거 전쟁 후 1950년대까지 성장률은 프랑스와 캐나다가 연 5%, 이탈리아가 연 6%, 독일과 일본이 연 8% 이상에 달했고, 미국도 연 4%에 육박했다. 그러나 최근 미국, 영국, 독일의 성장률은 연 2% 안팎에 불과하고, 일본과 프랑스는 1%에도 미치지 못한다. 미 재무부 차관을 지낸 네이선 쉬츠 푸르덴셜파이낸셜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앞으로 10년 동안 그 절반만 돼도 우리에게는 행운일 것”이라고 말했다.
선진국 인구증가율 둔화에 따른 노동력 감소도 ‘포스트 2차대전’과 같은 경제 호황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다. 1960년대 초까지 주요 7개국(G7) 인구증가율이 모두 연 1%에 육박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으며, 일본과 이탈리아는 심지어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WSJ은 주요국에서 인구 증가가 둔화하면서 사회가 고령화되고,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플레이션 상황도 70년 전과는 정반대다. 세계대전 후 선진국들의 임금과 물가 통제 완화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정부 부채를 낮추는 데 도움을 줬지만, 오늘날에는 막대한 경기부양 지출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이 예상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WSJ은 전했다.
/전희윤기자 heeyou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