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현지시간)로 예정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잭슨홀미팅 연설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로서는 2%인 인플레이션 목표를 유연하게 운용해 2%가 넘어도 이를 용인하겠다는 식의 정책변경이 나오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25일 미 경제방송 CNBC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경기와 고용 회복이 이뤄질 때까지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인 2%를 웃돌아도 금리 인상에 나서지 않겠다는 뜻을 밝힐 가능성이 있다. 이는 ‘평균물가목표제(Average Inflation Target·AIT)’를 말하는 것으로 그동안 인플레이션이 2%를 밑돌았던 기간이 길었던 만큼 평균만 2%에 맞추겠다는 뜻이다. 쉽게 말해 직전 연도 인플레이션이 1%였다면 올해는 3%가 되더라도 평균으로는 2%로 목표치를 맞출 수 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연합뉴스
중앙은행의 최대 정책목표가 물가안정임을 고려하면 이 같은 움직임은 큰 정책변화다. 지난 1980년대 폴 볼커 전 연준 의장이 금리 인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을 잡았던 것과 비교하면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을 용인하는 반대의 길을 가게 된다는 것이 CNBC의 분석이다. 톰 그래프 브라운어드바이저스 채권투자책임자는 “이번 잭슨홀미팅은 역사적인 연설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준이 2%를 넘는 인플레이션을 용인하려는 것은 저금리를 통한 경기회복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고물가는 소비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지만 지나치게 낮은 물가는 성장에 방해가 된다는 것이 경제학자들의 생각이다. 일본의 경우 저성장·저물가가 고착화하면서 장기불황에 빠졌다.
특히 시장에서는 연준이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 인상에 나설 경우 취약한 미국 경제가 다시 한번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하다. 오는 2022년까지 실업률이 5%를 넘을 것이라는 예상을 고려하면 장기 저금리를 통한 경기지원이 필수라는 얘기다.
실제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도 2% 이상의 인플레이션 용인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의사록에는 “미국과 해외에서 저금리와 지속적인 디스인플레이션 압력이 일반화하고 있다”며 “지난 10년간 경제의 기초환경이 변한 만큼 (인플레이션 정책) 성명을 수정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WSJ는 “연 2%의 인플레이션 타깃을 공식적으로 채택한 2012년의 장기목표와 정책전략이 바뀔 수 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연준이 이번에 저금리 유지와 확장적 통화정책에 대한 기본틀을 재확인한 후 9월 FOMC에서 정책변경을 공식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