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국립고궁박물관 앞마당에서 사랑가를 연주 중인 가야금 병창 최예림씨./연합뉴스
방탄소년단 슈가 덕분에 세계에 널리 알려진 우리 악기 ‘대취타’는 발음을 그대로 영어로 옮겨 적어 ‘Daechwita’로 표기한다. 그렇다면 가야금, 판소리, 사물놀이 등은 영어로 어떻게 표기할까?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악원, 국립국어원이 국악계와 공연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요 국악용어 300개에 대한 ‘국악용어 영문 표준 번역 시안’을 마련해 31일 발표했다. 국악의 세계화를 지향하면서도 제대로 통일 된 영어 표기법이 없어 없어 모두가 혼란스럽다는 지적이 잇따른 데 따른 해결책이다.
이번에 마련 된 ‘표준 번역 시안’은 국악용어 전체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맞추어 적고 그 뒤에 용어의 속성을 가리키는 말을 영어로 덧붙여 설명하는 방식을 기본 원칙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물놀이’는 ‘Samullori Instrumental Music’으로, ‘가야금’은 ‘Gayageum Zither’로 적는 방식이다.
이는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문체부훈령 제427호)’에서 정한 자연 지명이나 문화재 등의 번역 표기 원칙에 따른 것이다. 현재 한라산은 ‘Hallasan Mountain’, 경복궁은 ‘Gyeongbokgung Palace’로 표기하고 있다. 문체부는 공공 용어 번역 전문가와 한국 방문 외국인 대상 선호도 조사 결과에서도 해당 표기 방식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고 전했다.
■대취타처럼 이미 알려진 용어는 우리말 소리만
다만 예외적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판소리(Pansori), 가곡(Gagok), 농악(Nongak), 처용무(Cheoyongmu), 강강술래(Ganggangsullae), 아리랑(Arirang)’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지정된 ‘의궤(Uigwe)’, 세계적인 영어사전인 메리엄 웹스터 사전 등에 수록된 ‘시조(Sijo)’는 우리말 소리를 그대로 로마자로 옮겨 적기로 했다. 지난 5월 방탄소년단 슈가의 노래를 통해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진 ‘대취타(Daechwita)’ 역시 이미 널리 알려졌다는 점에서 부가 설명을 붙이지 않는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신한류의 확산으로 우리 국악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도 늘어나고 있는 만큼, 관련 용어에 대한 표준을 제시해 널리 국악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정영현기자 yhchung@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