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집 대한의사협회장이 4일 오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정 협의체 구성 합의서 체결식에서 합의서에 서명을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공의들이 정부와 대한의사협회(의협)의 합의안에 반발하는 가운데 최대집 의협 회장은 “전공의는 복귀해야 한다”고 4일 밝혔다.
최 회장은 이날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정 협의체 구성 합의서 체결식에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합의문 서명을 마친 뒤 질의응답을 통해 “정부·여당과의 합의는 정차적 정당성을 거쳤다”며 “더 이상의 것을 주장 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전공의들의 파업 및 의대생들의 국가고시 거부에 대해서는 “다방면으로 설득해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고, 후배들에게 불이익이 없도록 하겠다”고 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등 젊은의사 비대위는 이날 의협과 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부와 마련한 합의안에 대해 절차상 문제를 제기하며 집단휴진을 이어가기로 했다. 박지현 대전협 비대위원장은 인스타 라이브를 통해 “저를 포함한 대전협 집행부와 전임의협의회, 의대협 등은 전혀 내용을 듣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현재 대전협 비대위는 전임의협의회,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와 젊은의사 비대위를 꾸려서 연대하고 있다.
/박동휘기자 slypdh@sedaily.com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장이 4일 오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정 협의체 구성 합의서 체결식에서 합의서에 서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음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의 합의문 서명식이 끝난 후 최 회장과의 일문일답.
- 젊은 의사들의 집단행동이 이어지고 있는데.
△ 전공의, 전임의들의 비판적인 견해를 알고 있다. 의·정 협의체 구성해서 논의해야 하므로, 그 과정에서 젊은 의사들의 의견을 수렴하겠다.
- 젊은 의사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대정부 요구안이 ‘철회’로 바뀔 수 있는지.
△ (복지부와 합의한) ‘중단 후 원점 재논의’와 ‘철회’는 사실상 같은 말이다. 이게 무슨 차이가 있길래 이런 용어에 집착해서 우리 스스로와 사회에 피해를 야기하나. 소모적인 논쟁이다.
- 전공의들이 의협의 단독협상이라 비판하는데.
△ 의협 구조는 회장이 독단행동을 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니다. 범의료계 4대악 저지투쟁 특별위원회(범투위) 회의를 통했고, 혼자 임의로 한 게 아니다. 절차적 정당성을 거쳐 의협이 단일안을 만든 뒤 협상하게 된 것이다.
- 젊은의사 비대위 박지현 위원장은 합의문을 전달받지 못했다던데.
△ 아니다. 정부와 당과의 합의문을 새벽에 6~7시에 이메일로 전달했다. 그러나 범투위 만장일치 의결 후에는 협상 전권을 의협이 위임받은 것이다. 이후에는 협상 상대방과 논의 끝에 수정을 거칠 수도 있다. 협상 타결과 결렬 결정은 제 재량에 놓이게 되는 것이지, 이걸 누구한테 보여주고 승인 및 추인받는 절차가 아니다.
- 동의 안 했는데 밀어붙인 이유는.
△ 의협에는 전공의뿐 아니라 교수, 개원의 등 여러 직역이 포함돼 있다. 전공의 의견을 청취할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하나의 의견이다. 철회를 관철할지 말지는 최종적으로 내가 결단을 내린 것이다.
- 최 회장이 전권을 위임받은 시점은.
△ (지난달 28일 열린) 범투위 2차 회의에서 협상 전권 위임받았다. 3일 최종안을 만든 회의가 3차 범투위 회의였다.
- 전공의들이 복귀 안 한다면 의협 차원에서는 어떻게 할 건지.
△ 말 그대로 복귀를 해라. 여러 가지 우호적인 조건을 마련할 수 있도록 각 병원, 수련병원, 시도지사 등에 다방면으로 접촉해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겠다.
- 복지부 합의안에는 ‘원점 재논의’가 없던데.
△ 복지부 입장에서 ‘원점 재논의’라는 말은 쓸 수가 없다. 그건 재량권을 넘어섰기에 복지부와 합의문에는 ‘중단’이라는 말을 담았다. 민주당과의 합의에서 ‘원점 재논의’를 넣었다.
- 전공의와 만남 일정 있나.
△ 정해진 일정 없는데, 내일이라도 만나서 차분히 대화하고 싶다. 한번 전공의, 전임의 등의 지역대표를 모아서 여러 차례 대화하겠다.
- 의대생들은 국시 복귀 안 하겠다고 하는데.
△ 의대생들은 시험에 복귀하고 학업 현장으로 돌아가야 한다. 반대했던 의대정원 증원 정책이 중단됐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안정 이후 원점 재논의하겠다고 했다. 이 시점에서는 그 이상의 것을 주장할 필요가 없다. 복지부에 필요한 조치를 요구해 불이익 없게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