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텐센트의 심장 게임까지 저격...中 IT기업 전방위 압박

[텐센트로 향하는 트럼프의 칼]
美 사용금지 '위챗'은 中 내수용으로 매출타격 크지 않지만
게임 사업비중 30% 넘어...제재 현실화땐 충격 막대할 듯
틱톡 美 사업부문 인수 논의는 진전...트럼프 승인이 관건

/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의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에 이어 모바일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틱톡과 메신저 서비스 앱 위챗 때리기에 나섰던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에는 텐센트로 시선을 돌리며 대중 제재의 보폭을 더욱 넓히고 있다.

틱톡의 미국 사업 부문 인수를 둘러싼 논의가 완전히 마무리되기도 전에 또 다른 중국의 대표 정보기술(IT) 기업에 대한 압박에 나선 셈이다. 대선이 50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멈출 줄 모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각종 폭로 서적 등으로 수세에 몰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압박정책의 수위를 한층 높이며 지지자 끌어모으기에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텐센트가 투자한 미국 내 게임회사들에 데이터보호 규약에 대한 정보를 제출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고 17일(현지시간)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게임회사들을 통해 텐센트 조준에 나선 것은 텐센트의 전체 매출 중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나금융투자에 따르면 지난해 텐센트의 매출액은 3,772억8,900만위안(약 64조8,900억원)이었는데 이 중 게임은 1,147억1,000만위안으로 전체 사업 부문 가운데 가장 많은 30% 이상을 차지했다. 지난해 4·4분기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25.2%나 증가할 정도로 게임사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텐센트는 지난해 매출 기준 세계 1위 게임 퍼블리셔로 ‘리그 오브 레전드’의 경우 2018년과 2019년 각각 14억달러(약 1조6,268억원), 15억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면서 글로벌 매출액 톱 순위권에 들기도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사용을 금지하겠다고 밝힌 위챗의 경우 매출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다. 특히 게임과 달리 위챗은 중국인을 중심으로 이용되는 일종의 내수용 서비스이기 때문에 텐센트가 받는 충격은 생각만큼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반면 텐센트의 최대 매출창고인 게임사업을 건드릴 경우 충격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IT 전문매체 시넷은 앞서 위챗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 서명 당시 백악관이 이 명령은 위챗이 미국에서 사업하는 것을 막았을 뿐 소유주인 텐센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으나 미국 외국인투자위원회(CFIUS)의 이번 요청으로 상황이 달라질지도 모른다고 전했다.


무엇보다 이번 조치는 틱톡을 둘러싼 논의가 끝나기도 전에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지난달 6일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와 위챗의 모회사인 텐센트와의 거래를 금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위기에 처한 바이트댄스는 틱톡의 미국 사업 부문 매각을 고려했으나 중국 정부의 압박을 고려해 미국 기업인 오라클과 기술협력을 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백악관과 가까운 오라클을 ‘신뢰할 수 있는 기술파트너’로 내세워 미국 정부가 우려하는 국가안보 우려를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이 논의는 진전을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전날 바이트댄스에 수정된 내용의 계약서를 보냈고 바이트댄스와 오라클은 이를 수용했다고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오라클은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은 독립적인 이사회와 함께 미국에 본사를 두고 신설되는 틱톡의 소수 지분을 인수한다. 이사회는 미국 시민으로만 구성되며 국가안보위원회도 포함된다. 미 백악관이 요구하는 매각 방식에 별다른 저항 없이 따르는 모양새다.

다만 위험요소는 남아 있다. 수정된 안이 시행되기 위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이 필수적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까지 수정된 내용을 보고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히 마크 메도스 백악관 비서실장은 수정된 안이 대통령이 제시한 목표와 잘 맞지 않는다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여기에 중국 정부의 승인도 필요하다. 중국 정부가 백악관의 요구가 과하다며 반발하는 움직임이 감지되지만 아직까지 공식적 대응은 없으며 미국과의 마찰을 껄끄러워해 결국 틱톡 매각은 미국이 원하는 방식으로 마무리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처럼 미 백악관이 틱톡 매각을 원하는 대로 성사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텐센트의 주력 사업인 게임 분야를 결국 매각으로 이어지게 하려는 셈법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대선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중국 IT 산업을 견제하는 동시에 미국의 안보와 미국 기업들의 산업적 우익을 챙겼다는 일석이조의 효과로 선거 판세에 긍정적 영향이 미치기를 기대한다는 분석이다.

/김연하기자 yeon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