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울에서 6억원 이하 아파트가 절반 이상 사라진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9억원 넘는 아파트 비중은 3년 새 2배 이상으로 늘어났다.
21일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감정원 월간 서울아파트 매매 시세현황(2017.5~2020.6)’을 분석한 결과, 서울 내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2017년 5월 67.3%에서 올해 6월 29.4%로 급감했다. 반면 9억원 초과 아파트는 15.7%에서 39.8%로 비중이 2.5배로 늘어났다. 15억원 넘는 초고가 아파트 비중은 3.9%에서 15.2%로 확대됐다.
6억원 이하 비율이 가장 크게 줄어든 곳은 강동구였다. 2017년 5월에는 6억 이하 아파트가 74.9%에 달했지만, 올 6월에는 8.9%로 급감했다. 그 사이 9억원 초과 아파트는 0.4%에서 49%로 급증했다. 3년 전에는 강동구 10채 중 7채가 6억원 아래였지만, 지금은 6억원보다 저렴한 아파트가 10채 중 1채도 되지 않는 것이다.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도 집값이 크게 뛰며 6억 이하 아파트를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마포구는 6억원 이하 아파트가 2017년 5월 당시 54.3%였으나, 올 6월에는 6.1%에 그쳤다. 이에 반해 9억원 초과는 7.1%에서 61.3%로 늘어났다. 성동구도 6억원 아래 아파트가 60.6%에서 2.4%로 줄고, 9억원 초과는 5%에서 65.6%로 증가했다.
‘6억 소멸‘ 현상은 강북 지역에서 더 두드러졌다. 원래 중저가 아파트가 많았던 성북구의 경우 6억원 이하 아파트가 97%에서 33.6%로 대폭 줄었다. 동대문구는 88.9%에서 26%로, 서대문구는 88.6%에서 26.5%로 쪼그라들었다. 3년 전엔 해당 지역 내 대부분 아파트가 6억원 아래였는데, 지금은 3분의 1 가량만 남은 셈이다.
반대로 강남권의 경우 15억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비율이 늘어났다. 강남구는 2017년 5월만 해도 15억원 이상 아파트가 26.8%였지만, 2020년 6월 기준 73.5%로 늘어났고, 서초구도 22.4%에서 67.2%로 확대됐으며 송파구도 5.3%에서 43.1%로 늘었다. 김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설익은 부동산 대책이 실수요자의 주거사다리를 걷어차다 못해 수리 불가능 수준으로 망가뜨려 놓았다. 오랜기간 살아온 실거주민에게는 ‘세금 폭탄’까지 선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양지윤기자 yang@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