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문화재 제449호 대한의원 개원칙서. /사진제공=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박물관
‘대한의원 개원칙서’에 등장하는 33자의 한글 글꼴을 바탕으로 개발된 ‘재민체’를 박재갑 서울대 명예교수가 붓글씨로 옮겨쓴 ‘대한의원 개원칙서’ /사진제공=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박물관
“국운의 성쇠는 국민의 건강과 질병에 연유함이 많다. (중략) 짐이 태황제 폐하의 성스러운 뜻을 이어받아 담당 관리들로 하여금 우방에서 장점을 취해 의술의 보급과 진흥을 도모하고자 대한의원을 창설하기로 하였다. (중략) 개원식을 거행해 본 원의 업무를 시작하여 그 효과의 서광이 점차 원근에 미쳐 온 국민이 그 혜택을 입게 됨은 짐이 마음속으로 만족하는 바이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1874~1926)은 1908년 10월 24일 군주의 명으로 ‘대한의원 개원칙서’를 내려 이같이 적었다. 국운이 국민의 안위에 달려있다는 주권재민(主權在民)의 정신을 담아 병원을 설립하도록 명하는 내용이다. 이 칙서는 현재 대한의원을 계승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 의학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등록문화재 제449호로 지정된 이 개원칙서의 서체가 574돌을 맞은 한글날을 앞두고 한글폰트로 다시 태어났다. 국립암센터 초대원장, 국립의료원장 등을 지낸 박재갑 서울대 의과대학 명예교수가 ‘개원칙서’의 글꼴을 눈여겨 봤고, 김민 국민대 사회문화디자인연구소 팀이 제작과 개발을 맡은 ‘재민(在民)체’다.
박재갑 명예교수와 김민 교수 등 ‘재민체’의 주인공들은 6일 서울대병원 의학박물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개원칙서를 한글 재민체로 되살리기까지의 과정과 함께 이 글꼴을 활용한 작품들을 공개했다.
2011년 정년퇴임 후 미술과 전각, 서예 등의 취미생활을 시작한 박 명예교수는 “서울대병원 시계탑 건물 앞을 지날 때마다 눈여겨보던 개원칙서의 글꼴이 단아하고 아름다워 붓글씨로 임모(臨慕)하던 중 한문만 쓸게 아니라 자랑스러운 우리 한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지난해 우연히 박 명예교수가 글씨 쓰는 모습을 본 김 교수는 “국민의 건강과 안위를 염려한 황제의 명을 7,000명 가까운 암환자들의 목숨을 구해낸 박 교수님이 적고 계시는 모습을 보며 우리가 그 귀중한 뜻을 놓치고 사는 게 안타까웠다”면서 “칙서의 서체는 당대 최고 글씨 전문가의 솜씨이기에 ‘개원칙서’의 서체를 붓글씨로 쓸 수 있게 단순화시켜 제작해 드린 것이 시작이었다”고 돌아봤다.
‘개원칙서’에 등장하는 한글은 중복 글씨를 제외하면 총 33자. 폰트를 제작하기에는 추가 연구가 필요했다. 박 교수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장서각으로 연구팀을 이끌었고 4,500여권의 고문헌 속 한글과 비교하는 방대한 작업에 나섰다. 김 교수는‘재민체’ 한글폰트를 위해 1,350자를 만들었고, 신조어까지 쓸 수 있는 확장형의 한글 2,350자를 완성했다. 새 폰트는 오는 8일부터 한국저작권위원회가 개설한 웹사이트 ‘공유마당’을 통해 누구나 다운 받아 이용할 수 있다.
폰트의 디자인적 특징에 대해 박윤정 국민대 테크노디자인대학원 겸임교수는 “궁에서 쓰던 한글서체로는 관료들의 궁서체와 궁녀들의 궁체가 있지만 개원칙서의 글씨는 그 둘 모두와 다르다”며 “황제의 말을 옮겨쓰는 것이기에 돌기 부분에 힘이 담겨 외유내강을 드러내고 획의 맺음도 날카로우나 끊기지 않는 뼈가 담겨있다”고 설명했다.
/조상인기자 ccsi@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