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위안화’ 공개 실험 나선 중국

中 ‘디지털위안화’ 공개 실험 나선다

선전시민 5만명에 200위안씩 분배

3,300여개 상업시설서 사용 가능

중국 SNS 등에 공개된 디지털 위안화 모습. /바이두 캡처

중국 정부가 법정 디지털화폐인 ‘디지털위안화’ 공개실험에 나서기로 했다. 디지털위안화 도입이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11일 증권일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광둥성 선전시는 전날 공식 웨이신(중국판 카카오톡) 계정을 통해 중앙은행인 인민은행과 공동으로 시민들에게 법정 디지털화폐를 지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추첨으로 5만명이 선정되며 이들에게는 각각 200위안씩 총 1,000만위안(약 17억원)이 분배된다. 당첨 결과는 12일에 발표되며 당첨된 사람은 디지털화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내려받은 돈을 오는 18일까지 선전 뤄후구 내 3,389개 상업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다.

중국 당국이 공개적으로 디지털위안화 제도 운영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인민은행은 올해부터 선전·슝안·쑤저우·청두와 베이징동계올림픽 개최 예정지 등지에서 폐쇄적으로 내부 실험이 이뤄지고 있다고 확인한 바 있다.

중국 정부는 디지털위안화 도입과 관련해 거래의 편의성을 내세우지만 금융계에서는 위안화의 달러패권 도전 여부에 더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현지 금융 관계자는 “중국 당국이 일반시민에 대한 사전 테스트에 나선 것을 볼 때 이르면 내년에 정식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위안화 국제화’ 목표…美 금융압력에 도입 속도낸다

■中 ‘디지털 위안화’ 공개 실험

‘일대일로’ 통해 해외서도 사용될듯

중국 정부가 법정 디지털화폐인 ‘디지털 위안화’ 공개 실험에 나서기로 한 것은 조만간 이를 시행할 수 있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미국과의 갈등이 날로 격해지는 가운데 미국이 최근 중국을 달러의 국제결제망에서 배제하겠다는 극단적인 공세도 검토한 것으로 해석되면서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에 대한 조바심이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중국 매체들은 광둥성 선전시가 중앙은행인 인민은행과 함께 시민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위안화 공개 실험에 나설 것이라고 보도했다. 추첨으로 뽑힌 시민 5만명에게 1인당 200위안의 디지털화폐가 지급되며 이들이 실제 상점에서 사용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조치는 대규모인 실험 대상 숫자와 함께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던 디지털 위안화가 실제로 공개된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중국이 디지털화폐 연구를 시작한 것은 지난 2013년으로, 올해 4월부터 선전·슝안·쑤저우·청두와 함께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 예정지 등지에서 실제 현장실험을 해왔다.

이에 따라 당초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 때 정식 도입하려던 목표 날짜가 한층 앞당겨질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미국의 대선 과정에서 각 후보들이 선명성 경쟁을 벌이면서 ‘중국 때리기’가 한층 심화되고 있는 것이 이런 상황을 만들어낸 셈이다.

중국이 추진하는 ‘금융굴기’ 목표는 위안화의 국제화이고 궁극적으로는 ‘위안화 제국’의 건설이다. 현물 통화로서의 위안화 국제화가 어렵자 중국 당국이 만들어낸 것이 디지털 위안화인 셈이다. 미중 갈등은 이런 디지털 위안화의 도입 속도를 빠르게 한 것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팡싱하이 증권감독위원회 부주석(차관)은 올 6월 공개 포럼에서 “위안화 국제화는 향후 외부 금융 압력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라며 “미리 계획을 마련해야 하고 우회할 수도 없는 과제”라고 밝히기도 했다.

현재 추세로 보면 중국은 세계 주요국 중 가장 먼저 법정 디지털화폐를 발행해 사용하는 나라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체적으로 디지털화폐는 국제거래의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일 것으로 평가된다. 처음 시행자가 주도권을 잡는 국제 규칙의 일반성이 디지털화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중국은 자신의 경제블록인 ‘일대일로(육·해상 실크로드) 사업’에 해외로의 위안화 사용을 확대해갈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 소식통은 “중국이 이미 디지털 위안화 개발을 기본적으로 마친 상태”라며 “최고 지도부의 최종 시행 판단만 남은 단계”라고 전했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