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터리]노벨 과학상, 이제는 실전이다

조명희 국민의힘 국회의원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

최근 과학기술계는 ‘노벨상 앓이’로 가슴 아프다.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은 내년에 27조원을 돌파할 예정이며 기초연구예산 또한 매년 증가해 2조원을 넘었다. 그런데 한 국가의 기초과학과 원천기술 경쟁력을 가늠하는 지표인 노벨과학상 앞에서 우리나라는 유독 작아진다. 일본과 독일 등에 비해 기초과학에 연구예산을 투입한 역사가 짧은 이유도 있지만 그간 정부의 정책이 전략적이지 못한 데서 기인한다.

필자는 지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정감사에서 노벨상 수상을 위해 국제연구협력 네트워크의 다변화가 중요함을 강조했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는 국제공동연구를 182건 수행했는데 노벨상 주최국인 스웨덴과의 연구는 고작 8건, 4.4%에 불과했다. 또 최근 10년간 스웨덴 대사관에 과학기술 담당관을 파견한 사례도 전무했다. 반면 ‘50년간 30명의 노벨과학상 수상’을 목표로 세운 일본은 벌써 24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대사관에 과학 담당관을 임명하고 노벨상 수상자를 선정하는 연구소에 연락사무소를 설치해 다수의 인력을 파견하는 등 일본은 스웨덴과의 과학기술 협력에 공을 들이고 있다. 1년에 수차례 콘퍼런스 등을 개최해서 일본-스웨덴 과학기술인의 정례적인 모임을 주선하고 우수한 과학자와 연구실적을 적극 홍보한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과학기술외교 싸움에서도 밀리는 것이다.


현장에서는 과학계가 주목하는 연구에 대한 활발한 국제교류가 국가의 과학경쟁력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말을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노벨과학상 유력 후보가 3명이나 나오는 등 세계적 수준의 과학자를 배출하고 있으니 이제는 더 견고한 국제 네트워크 강화 및 국내 과학자에 대한 전략적 해외 홍보를 위해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필자는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한-스웨덴 국제공동연구를 늘려야 한다. 양국 연구자들이 공동과제를 발굴함으로써 친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스웨덴을 비롯한 스칸디나비아반도의 연구진들과 우리나라 우수인력을 연계할 수 있는 외교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스웨덴에 과학기술협력센터를 설립하고 과학기술 담당관을 파견하는 등 거점외교를 추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과기부 내 ‘국제연구지원팀’을 만들어 ‘상위 1% 연구자(Highly Cited Researchers)’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집중 관리가 필요하다.

노벨상은 어떠한 분야에서 처음 원리를 찾고 연구를 시작한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즉 과학자의 창의성은 자유에서 나오며 정부는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대외적으로는 노벨상 수상을 위해 전방위적인 과학기술외교를 펼쳐야 한다. 노벨상 시즌마다 반복되는 “한국은 왜 아직?”이라는 말 대신 다음 노벨상 주인공을 위해 이제는 실전에 임하는 자세로 치밀한 전략을 짜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