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공허한 '친환경차 정책'...국내 기업 60%는 부품개발 준비도 못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전기·수소차 등 무공해차와 자율주행차로 급격히 재편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부품업체 10곳 중 6곳은 미래차 전환을 준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가 친환경차 등 미래차 전환을 서두르고 있지만 정작 미래차 전환의 밑거름이 될 부품업체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헛발질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3’가 생산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자동차부품 산업 미래차 전환실태 조사 결과 및 정책건의’를 주제로 제10회 자동차산업발전 포럼을 열었다. 이번 포럼에서는 협회가 국내 자동차부품사 185곳을 상대로 실시한 미래차 전환 준비실태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조사에서 우리 부품업체의 미래차 전환율(전기·수소차 및 주율주행차 관련 부품을 생산 또는 개발 중인 기업 비율)은 39.6%(생산 16.8%, 개발 22.8%)로 집계됐다. 부품업체 가운데 미래차 전환에 착수조차 못한 기업이 60%를 넘는다는 뜻이다. 규모별로 보면 연 매출 1,000억원 이상 중견기업은 미래차부품 전환율이 62.7%(생산 29.9%, 개발 32.8%)로 비교적 높은 반면 연 매출 500억원 이하 중소기업의 전환율은 16.1%에 불과했다. 미래차부품 생산·개발에 착수했더라도 실제 수익을 내는 곳은 17.8%에 그쳤다.

부품업체들이 미래차 연구개발(R&D) 투자에 착수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자금부족이 35.6%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인력 부족(20.7%), 원천기술 부족(19.5%) 등이 뒤를 이었다.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자동차부품 산업 미래차 전환실태 조사 결과 및 정책건의’라는 주제로 열린 제10회 자동차산업발전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자동차산업협회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우리 부품업체 중 40% 정도가 3~6년의 시간을 들여 미래차부품 개발 및 생산에 나서고 있지만 수익이 미미하고 투자 회수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며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환경기준 강화 같은 규제일변도보다는 자금지원 등 인센티브 위주의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차의 상징인 전기차는 오는 2025년 글로벌 판매량이 1,000만대를 넘어서고 2030년에는 2,000만대를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 예상치가 7,100만여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2030년에는 자동차 판매량의 30%를 전기차가 차지할 것이라는 얘기다.

하지만 전기차 등 미래차 생산이 늘더라도 부품 수요는 오히려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내연기관차의 부품 수가 3만여개에 달하는 반면 전기차 부품 수는 1만9,000개에 못 미치기 때문이다. 반대로 자율주행의 기반인 인공지능(AI)용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부품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주제발표자로 나선 김경유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전기차 전환이 이뤄지면 제동이나 자체 관련 부품 수요는 줄지 않겠지만 6,900여개에 달하는 엔진부품은 모두 사라지게 된다”며 “자동차부품 업계의 대변환이 일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우리 부품기업들의 미래차 전환 준비가 ‘걸음마’ 단계라는 점이다. 김용원 자동차산업협회 본부장은 “현대차그룹의 경우 수소차의 연료전지 스택과 전기차의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등은 선진국과 동등한 수준이지만 수소충전·배터리팩 등 일부 핵심기술은 열위에 있다”고 진단했다. 자율주행 부분은 더 심각하다. 김 본부장은 “센서 기술은 미국·독일의 30∼80% 수준에 불과하며 카메라 인식 기술도 상용화 단계에 못 미치고 있다”고 전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우리 부품업체들은 자금과 기술력·인력 부족이라는 3중고로 미래차 시대에 대비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부품업체들의 R&D자금 조달 실태를 보면 단적으로 드러난다. 협회 조사를 보면 부품업체들은 미래차 R&D 자금 중 절반 이상에 내부보유자금(56.8%)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R&D자금( 4.8%), 정책자금(6.2%) 등 정부 지원은 미미했다. 문재인 정부가 연일 친환경차 개발에 속도를 내겠다고 공언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대부분의 부품기업들이 정부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셈이다. 김 본부장은 “미래차부품 개발과 설비 투자에 소요되는 수십억원의 비용과 최소 3~8년의 개발 기간을 고려하면 중견·중소기업은 투자 결정이 쉽지 않다”며 “중국 부품업체들에 뒤지지 않으려면 기존 내연기관 부품을 통해 수익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차부품에 투자하도록 지원하는 등 이상보다 현실을 감안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김능현기자 nhkimch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