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에 나선 학비노조 소속 초등학교 돌봄 전담사 등이 6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돌봄교실 민영화 반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오승현기자
전국 초등 돌봄 전담사들이 6일 ‘온종일돌봄법’ 철회를 요구하며 하루 파업을 벌이면서 학부모들이 혼란을 겪었다. 대다수 학교가 교사들을 긴급투입해 돌봄대란 사태는 가까스로 막았다. 전담사들은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2차 파업에 나서겠다고 예고해 갈등은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은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돌봄 법제화와 단시간 돌봄 전담사의 근무시간 확대를 촉구했다. 노조는 이날 전국 돌봄 전담사 1만2,000여명 가운데 6,000명 이상이 파업에 참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오전11시 기준 41.3%인 4,902명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학비노조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온종일 돌봄 체계를 구축하는 법안은 환영한다”면서도 “돌봄을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 돌봄으로 전환할 우려가 큰 온종일돌봄법은 졸속”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의 주먹구구식 돌봄교실 늘리기가 이어진다면 돌봄교실도 사립유치원처럼 막대한 국가 예산을 들이고도 비리의 온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교육부 집계 결과 전국의 돌봄교실 1만2,211실 가운데 7,980실(65.4%)에서 돌봄이 정상적으로 운영됐다. 그중에서도 서울시교육청은 이날 오전11시 기준으로 서울 지역 공립 초등학교 1,796곳의 돌봄교실 중 1,541곳(85.8%)이 운영된 것으로 봤다.
그럼에도 일부 맞벌이나 한부모 가정은 파업으로 인한 불편을 피하지 못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워킹맘’ 지모(43)씨는 “문자메시지를 받고 급하게 친정에 아이를 맡아달라고 부탁했다”며 “취지를 이해하지만 맞벌이 입장에서 당혹스러운 것은 어쩔 수 없었다”고 말했다. 각종 온라인 맘카페에도 “연가를 다 사용했는데 파업을 근거로 휴가 사용이 가능한가”라는 질문부터 “그간 출근과 재택을 어렵게 병행했는데 일을 그만둬야 하나 싶다”는 등 돌봄 공백 장기화를 우려하는 게시글이 쏟아졌다. 교육당국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돌봄 전담사들과 교장·교감 등 관리직 교원을 통해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다. /한민구기자 1min9@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