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안하고 미안하다" 연평도 포격 10년에 더 애달픈 母情

故 서정우 하사 모친 김오복씨
전사한 아들·동료에 추모편지
"아픔·억울함으로 기억된 10년
희생 헛되지 않는 세상 소망"
서 하사·문광욱 일병 부모 '명예해병'



고(故) 서정우 하사와 고 문광욱 일병 유가족들이 23일 대전 유성구 대전국립현충원에서 열린 연평도 포격전 전투영웅 제10주기 추모식에 참석해 묵념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안하고 미안하다. 사과 한마디 받아내지 못해 미안하고 사람들에게 잊혀가 미안하다.”

10년 전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로 전사한 해병의 어머니가 아들에게 보낸 추모편지가 많은 이들을 숙연하게 했다.

해병대사령부는 23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연평도 포격전 전투영웅 제10주기 추모식’을 거행하고 지난 2010년 11월23일 북한 포격 도발로 전사한 고(故) 서정우 하사의 부모 서래일(61)·김오복(60)씨, 문광욱 일병의 부모 문영조(57)·이순희(54)씨를 ‘명예해병’으로 임명했다.

이들 부모는 이승도 해병대 사령관으로부터 해병대의 상징인 팔각모와 인식표(빨간명찰), 명예해병증을 받았다.

이날 행사에서 서 하사의 모친 김오복씨는 먼저 떠나보낸 아들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추모편지를 보내 참가자들의 눈시울을 붉게 물들였다. 김씨는 ‘사랑하는 우리 아들들 정우·광욱에게’라고 시작한 추모편지에서 “10년 전 오늘 12시경 ‘엄마, 드디어 휴가 나가요’라며 들뜬 전화 소리가 지금 이 순간도 생생하기만 하다”며 “너희는 여전히 스물두 살, 스무 살로 우리 부모 맘속에 기억되고 있는, 아픔과 억울한 10년이었다”고 애달픔을 표했다.

이어 “미안하고 미안하다. 북한 포격으로 처참하게 전사한 너희들의 희생에 사과 한마디 받아내지 못해서 미안하고, 연평도 포격이 이제 많은 사람 마음속에 잊혀가고 있음이 미안하다”며 “평화라는 이유로 북한 도발을 애써 외면하며 비난 한마디 하지 않은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어 참으로 안타깝기만 하다. 언젠가는 너희의 희생이 결코 헛되지 않는 세상이 될 것이라 소망해본다”고 전했다.


이승도 사령관은 명예해병 임명식에서 “당시 연평부대장으로서 10년 전 오늘을 한시도 잊을 수 없었고 앞으로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라며 “전사한 두 해병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을 모든 해병대원의 가슴과 영혼에 오롯이 새기고 해병대의 역사에 ‘영원한 해병’으로 기억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010년 11월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당시 파괴된 민간인 거주 지역. /연평도=연합뉴스

한편 해병대는 연평도 포격전 당시 대응사격을 했던 K-9 포상 2곳 중 1곳을 안보전시관으로 조성해 보존하기로 했다. 포격전 당시 대응사격에 가담했던 연평부대의 포7중대 포진지는 2곳이다. 1곳은 개선공사를 마치고 원래 군사적 목적대로 사용하고 있다.

올해 여름부터 설계와 공사에 들어가 연말까지 완공할 예정인 안보전시관에는 포격전 경과를 설명하는 전시물이 설치되고 북한 포탄 피탄지와 파편 흔적, 전사자 유품 등이 보존된다. 전시관은 국민과 해병대 장병들이 당시 연평부대의 용맹함을 인식하는 장소로 활용된다.

서욱 국방부 장관 주관으로 거행된 추모식에는 두 전사자 유가족과 참전용사, 현역 장병을 비롯해 부석종 해군 참모총장, 이승도 사령관, 남영신 육군 참모총장, 역대 해병대 사령관 등이 참석했다.

브레들리 제임스 주한 미 해병대사령관, 이남우 국가보훈처 차장, 민홍철 국회 국방위원장과 국방위원, 지역 기관장 등 100여명이 참석해 고인들을 추모했다.

국민의례와 추모영상 시청, 헌화·분향, 추모사, 추모 헌시 및 편지 낭독, 추모 공연, 두 전사자가 즐겨 불렀던 ‘팔각모 사나이’ 군가 제창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연평부대에 근무하는 전해권 상병이 직접 작성한 추모 헌시를 낭독했다.

추모식 후 유가족과 이승도 사령관은 헬기로 연평도로 이동해 두 해병이 전사한 곳을 찾아 고인들의 넋을 위로했다.

북한은 2010년 11월23일 연평도와 주변 해상에 76.2㎜ 평사포와 122㎜ 방사포 등 포탄 170여발을 발사했다. 개머리해안 인근 해안포 기지에서 시작된 포격은 2차례에 걸쳐 1시간가량 계속됐다. 이로 인해 해병대원 2명과 민간인 2명이 목숨을 잃었고 부상자도 60명이나 발생했다.
/김정욱기자 mykj@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