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이동이 어려워 재활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자도 40%나 돼 지역사회의 교통·이동 지원 서비스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남종 분당서울대병원·손민균 충남대병원·고성화 양산부산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팀이 이런 환자들 중 우선 16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퇴원 후 재활치료 현황과 미충족 수요 기초조사(대면 설문조사)’의 중간결과다.
조사 결과 통원 재활치료를 받고 있다는 응답자(44%) 10명 중 6명은 대학병원 이용자였다. 또 41%만이 재활치료와 관련된 사회복지 서비스를 알고 있거나 이용하고 있었다.
백 교수는 “퇴원 후에도 단기간 내 재입원하는 경우가 예상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된 만큼 지속적인 의학적·기능적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병원·지역사회 간의 재활 전달체계를 확립하고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적절하고 공신력 있는 정보 제공을 통해 접근성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뇌졸중으로 애로를 느끼는 증상은 보행·이동의 어려움(71%)이 가장 흔했고 자기관리의 어려움(66%), 통증·불편(61%), 불안·우울(46%), 경직(44%), 인지기능 저하(41%)가 그 뒤를 이었다. 재활치료를 받고 싶어도 주변에 그런 치료를 해주는 곳이 없는 미충족 치료 분야로는 불안·우울(80%), 의사소통의 문제(64%), 낙상(64%), 삼킴장애(59%), 통증·불편(55%), 인지기능 저하(54%) 등을 꼽았다.
백 교수는 “뇌졸중 환자들이 다양한 후유증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지역사회 복귀 후 재활치료를 받고 싶어도 못 받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포괄적·심층적 조사를 통해 미충족 수요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 제공과 맞춤 재활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뇌졸중은 사지마비와 언어장애, 인지기능 저하, 경직 등 다양한 후유증을 남기며 치료의 장기화로 사회경제적 부담이 연간 4조2,000억원을 웃돈다. 환자 돌봄에 대한 보호자와 가족들의 부담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뇌졸중 환자들의 건강상태 변화, 주관적 장해 및 재활치료 현황, 미충족 수요에 대한 체계적 조사, 전국 규모의 다기관 조사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번 조사연구는 질병관리청 산하 국립보건연구원 심혈관질환연구과의 지원을 받아 올해 2월부터 진행됐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