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채권의 정식 명칭은 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채권이다. 이 채권으로 조달한 자금은 공공이익을 증진하는 사업에만 쓸 수 있다. 채권 발행 자금을 기후변화·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프로젝트에만 쓸 수 있는 그린본드(Green Bond)와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소셜본드(Social Bond)도 ESG채권의 일종이다.
초기 국내 ESG채권 발행시장은 주로 국책은행과 공공기관 위주로 운영됐지만 최근 들어서는 민간 금융사들이 주도하는 모양새다. 특히 올 들어서는 그린본드는 물론 코로나19 금융 지원을 위한 소셜본드 발행이 급증하면서 ESG채권 발행 규모가 빠르게 불어났다.
KB국민은행은 올해에만 원화로 9,500억원, 달러·유로로 각 5억달러·5억유로 규모의 ESG채권을 발행했고 지난해 국내 금융지주 가운데 처음으로 그린본드가 결합된 ESG채권을 발행했던 신한금융은 올해도 5억달러를 추가 발행했다. 이제까지 ESG채권 발행 실적이 없던 NH농협은행도 지난 7월 처음으로 5억달러 소셜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우리은행(7,500억원)·하나은행(1억5,000만달러)·IBK기업은행(4,000억원·5억달러)도 잇달아 발행 대열에 동참하면서 올해 들어 8월까지 이들 금융사의 ESG채권 발행 규모는 22억달러·2조원 규모를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발행 규모(24억달러·1조5,500억원)를 이미 넘어섰다.
ESG채권을 발행하려면 민간의 자율 규제를 지켜야 하고 사후 사용내역 보고·공시 의무 등 추가적인 절차도 따라야 한다. 그럼에도 금융사의 ESG채권 발행이 늘어나고 있는 데에는 지속가능 경영을 강화한다는 이미지 제고 효과는 물론 자금 조달의 다양성도 챙길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글로벌 큰손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가중치를 두고 투자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ESG채권의 수요도 늘고 있다”며 “저금리 기조가 심화하면서 발행기관 입장에서도 자금 조달 경로를 다양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