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도 기대 이상의 실적을 거둔 은행권에 금융 당국이 지난해보다 20% 이상 배당 성향을 낮출 것을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 당국은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고 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만큼 배당을 줄여 위기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주주 가치 회복을 위해 배당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금융 지주사의 대응이 주목된다.
20일 금융 당국 등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은행권과 결산 배당을 축소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금감원은 이와 관련, 배당 성향을 20%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배당 성향은 배당금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배당 성향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벌어들인 수익을 주주에게 그만큼 많이 돌려줬다는 의미다.
금융 지주사는 전통적으로 높은 배당 성향을 보였다. 지난해 기준 우리금융 27%, KB금융(105560) 26%, 하나금융 26%, 신한금융 25% 등의 분포를 보였다.
금감원의 권고안은 지난해 주요 금융 지주사의 배당 성향보다 5~7%포인트 낮은 수치다. 전체 비중으로 보면 20% 이상 줄어드는 수준이다.
금융 당국은 코로나19 사태라는 전례 없는 상황을 맞아 배당 축소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금융 당국의 한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경제 상황이 불확실하고 소상공인·중소기업 등 대출 만기 연장으로 부실이 이연된 측면 등을 고려하면 은행권이 적정한 수준에서 배당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외 주요국도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은행의 자본 건전성 악화를 우려해 배당 축소에 나서는 추세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최근 2년간 순익 합계의 15% 이내 또는 보통주 자본의 0.2% 이내 중 더 낮은 기준에 맞춰 배당금을 주도록 지급 규모에 제한을 뒀다. 영국도 25% 이내의 배당 성향을 기준으로 정했다.
금융 당국은 특수 상황을 고려해 일단 배당을 자제, 건전성을 확보하고 코로나19 상황이 잠잠해지면 그때 배당을 늘려도 늦지 않다는 입장이다.
금융 지주사들은 금융 당국의 논리는 이해하면서도 난감하다는 반응이다. 금융 지주사들은 올해 실적에 따라 배당 확대를 염두에 뒀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영향에도 신한과 KB는 사상 최대의 실적을 갈아치우고 있고 다른 금융 지주도 선방하는 상황이다. 이 같은 호실적에도 금융 지주사의 주가는 올해 증시가 상승 랠리를 보이는 것과 달리 소외돼 있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어려운 상황에도 지난해 대비 높은 실적을 거둔 만큼 실적만 보면 배당을 늘리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금융권이 서민이나 중소기업 등 지원의 역할도 있는 만큼 배당은 금융 당국과 협의해 결정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금융 당국의 다른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지난해와 같이 배당을 할 수 없다는 점을 은행들도 수긍하고 있다”며 “은행들이 배당 축소와 관련해 주주들을 설득하는 작업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일단 코로나19 시나리오별 충격을 견딜 수 있는지 등을 평가하는 스트레스 테스트(재무 건전성 평가)가 끝나는 대로 최종안을 은행권에 전달할 방침이다.
/김광수기자 bright@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