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98%는 도시가스를 사용하지만 여전히 나머지 2%는 액화석유가스(LPG) 가스통을 연료로 사용한다. 시장이나 골목에 있는 영세 식당과 옥탑방·쪽방촌 등 9만 2,000여곳이 주요 이용자다. 서울가스판매업협동조합은 이들에게 LPG를 배달하고 관리하는 600개 업체가 모여있다. 이영채(사진) 조합 이사장은 21일 서울경제와 만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온 경제를 뒤흔든 가운데 에너지 취약 계층은 그야말로 직격탄을 맞았다”며 “연쇄적으로 판매 업체도 사업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제대로 영업하지 못하는 영세 자영업자가 대다수인 요즘, LPG 요금을 연체하는 일이 빈번해졌다. 매출이 급감해 운용비가 없어도 조금씩 들어오는 주문을 받으려면 가스를 쓰지 않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판매 직원 입장에서도 정기적으로 가스통을 배달하고 월간 사용량을 직접 검침해 요금을 부과하는데, 매번 대면하는 고객에게 매몰차게 가스를 끊어버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이 이사장은 “한 달에 수만 원에서 수십만 원씩 요금이 밀려 독촉해도 결국 자영업자들이 장사를 해야 갚을 수 있으니 함께 버티는 수밖에 없다”면서 “지난해보다 조합 회원사들의 매출이 30% 이상 줄었다”고 말했다. 이어 “어느 날 가보면 가게를 버리고 사라지는 일도 점점 늘어나 판매 업자들의 적자 폭이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더구나 일일이 트럭으로 배달하고 요금을 정산하는 직원이 꼭 필요하기 때문에 사업주의 부담은 극에 달한 상태다. 도시가스와 달리 LPG는 전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 이사장은 “고용은 유지하면서도 LPG 가스 매출이 재난지원금 기준에 벗어나 별다른 정부 지원을 받지 못했다”며 “원인이 자영업자들이 정상 영업을 못 하는 것이니 이들이 제대로 돈 벌 수 있게 하면서 연료로 사용 명목을 한정한 실질적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나아가 LPG 사용량이 20% 이상 늘어나는 겨울철, 에너지 취약 가구에 대한 안전 점검에도 도움을 요청했다. 그는 “올해 말까지 서울시와 서민층 가스시설 개선사업을 통해 고무호스를 금속 배관으로라도 교체하고 있지만, 코로나19와 예산 부족 탓에 작업이 미뤄지고 있다”며 “힘들 때 더 힘든 에너지 취약 가구가 벼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민간과 공공의 합동 지원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이재명기자 nowlight@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