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까지 신재생 인프라 확충에 300조 소요"

[불안한 전력수급계획안]
백업 설비·계통 보강 등 불가피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2050년 탄소 중립’과 동시에 진행되며 수백조 원 규모의 재정 부담을 지울 것으로 예상된다.


24일 관계 부처와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이날 발표된 전력기본계획으로 현재 20.1GW인 신재생 에너지의 정격 용량은 오는 2030년 58GW로 늘어난 후 2034년 77.8GW로 증가하게 된다. 9차 계획에 따라 15년 동안 4배 가까이 신재생의 발전 용량이 늘어나야 한다. 여기에 더해 2050년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려면 탄소 배출 전원인 석탄 발전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가동을 사실상 중단해야 한다. 탈원전 정책으로 원자력발전소 가동이 줄어드는 것을 감안하면 2050년 기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전체의 80%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이 같은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 단지를 들일 부지를 확보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는 점이다. 에경연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80% 수준으로 올리려면 2020년 19.3GW 수준인 발전설비 규모를 적어도 335GW까지 늘려야 한다고 봤다. 태양광발전만으로 이를 조성한다고 가정할 경우에도 서울시 면적의 7배가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비용도 만만치 않다. 날씨에 따라 출력이 들쭉날쭉한 재생에너지의 변동 폭을 최소화하려면 2050년 기준 필요한 에너지저장장치(ESS) 용량은 339GWh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구축하는 데만 약 167조 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보조 설비인 가스터빈의 확대 설치에는 7조 원가량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 계통 연결을 위해 송배전로와 변전소 등을 새로 설치하는 데 109조 원이 투입돼야 한다. 백업 설비와 계통 보강 등에 총 300조 원에 달하는 비용이 필요한 셈이다. 에경연 관계자는 “국가 차원에서 탄소 중립을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우리나라 에너지 수급 구조의 특성과 취약성을 감안해 특정 연도를 목표 시점으로 설정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