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지수가 올해 마지막 거래일에도 1.8%나 치솟으며 2,900 선에 바짝 다가선 채 1년에 걸친 대장정을 마쳤다. 지난 3월 저점 대비 90% 이상 치솟으며 ‘동학 개미’ 등장과 기업공개(IPO) 활황 등 ‘역대급’ 기록을 쏟아낸 국내 증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지난 10여 년간의 지루한 박스권 장세에서 탈피했다. 글로벌 시장 가운데서도 가장 빠르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충격에서 벗어난 국내 증시는 앞으로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을 걸어야 한다. 국내 자본시장 리더들은 국내 증시의 지속적인 상승세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혁신 산업 육성과 이를 위한 정부 정책 지원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서울경제가 30일 미래에셋대우·한국투자증권·NH투자증권·삼성증권·금융투자협회 등 국내 주요 증권사, 자산 운용사, 유관 기관 최고경영자(CEO) 23명을 대상으로 ‘내년 한국 증시 전망’을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의 44%가 ‘혁신 산업을 육성하려는 기업의 노력과 이를 위한 정부의 규제 완화’가 국내 증시의 장기 상승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답했다.
상장사들의 주주 친화적 정책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는 의견도 24%에 달했다. 이와 관련해 자본시장 리더들은 국내 상장사들의 주주 환원 정책이 미흡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많이 나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는 의견이 69.6%, 상당히 미흡하다는 의견도 21.7%로 90.3%가 기업들의 더욱 적극적인 주주 친화 정책을 요구했다. 최현만 미래에셋대우 수석부회장은 “주식시장의 꾸준한 상승을 위해서는 자본시장을 잘 이해하는 투자가, 신뢰와 전문성으로 깊이 있는 금융회사, 규제할 것과 풀 것을 잘 아는 정부가 균형을 맞춰야 한다”며 “이렇게 해야 선진국 증시로 진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증시 주도 세력으로 성장한 동학 개미들이 장기적으로 꾸준한 수익을 거두기 위해서는 투자 자산을 다양화하고 리스크를 관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응답자 중 29.2%가 분산투자의 중요성을 지적했으며 간접투자 확대와 리스크 관리 능력 확대를 꼽은 리더의 비중도 각각 20.8%를 기록했다. 동학 개미들이 올해 증시에서 ‘괄목상대’할 만한 성과를 보였지만 변동성이 큰 주식에 편중이 심한 편이었고 이에 따라 리스크 관리에도 취약했다는 점을 지적한 셈이다. 특히 단타 및 레버리지 상품 등 고위험 상품에 대한 투자를 지양해야 한다는 의견(16.7%)도 적지 않았다. 올해 증시는 급락 후 전반적으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 기대 수익률이 높았지만 백신이 본격적으로 접종되고 치료제 출시가 가시권에 접어들면 내년 증시 기대 수익률은 올해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결국 ‘한 방’을 노리는 투자보다는 코로나19 이후의 변화한 세상에 잘 적응한 개별 기업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리더들의 진단이다.
올해 국내 증시에만 100조 원에 달하는 개인들의 자금이 유입되는 등 예금·부동산 등에서 증시로 가계 자금의 ‘머니무브’가 활발하게 이뤄졌지만 내년에는 강도가 완화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응답자의 60.9%가 ‘자금 유입 규모는 올해보다 덜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26.1%는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증시로의 자금 유입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장기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과 함께 금융 투자 업체들의 꾸준한 수익률 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각각 43.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나재철 금융투자협회장은 “삼성전자와 같은 우량한 주식을 10년씩 장기 보유하면 개인 투자자의 부를 늘리고 기업들도 자본시장에서 자본 조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며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제도에 국회나 정부가 세제 혜택을 좀 더 과감하게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본시장 리더들은 내년 증시도 올해만큼은 아니겠지만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3,000포인트를 넘어 안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47.8%였으며 3,000포인트를 넘어서겠지만 하반기에는 다시 밑돌 것이라고 응답한 리더도 34.8%였다. 3,000포인트를 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은 13%에 불과했다. 아울러 여전히 국내 증시가 저평가됐다고 평가했다. 국내 증시가 저평가됐다는 의견은 전체의 65.2%에 달했으며 적정하다고 평가한 응답자는 34.8%였다. 고평가됐다는 의견은 한 명도 없었다.
국내 증시가 저평가된 이유로는 기업 지배 구조와 주주 환원 정책이 미흡해서라는 의견이 43.5%로 절반에 육박했다. 실제로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 지수의 배당 성향은 26%에 불과해 글로벌 지수 평균(41%)에 턱없이 모자란 상황이다. 이현 키움증권 사장은 “한국 상장사들의 주주 환원 정책이 확대되면 외국인의 수급 개선 기대가 높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뒤를 이어 과도한 대외 의존형 경제구조(21.7%), 높은 환율 변동성(13%)을 꼽는 응답자가 많았으며 북핵 등 지정학적 리스크를 거론한 리더도 8.7%를 차지했다.
/박성호·이혜진기자 junpark@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