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중후장대→4차산업…"코스피는 산업 변화의 거울"

은행株, 80년대 시총 상위권 점령
中 경제 발전 후광 입은 중후장대
2000년대 들어 2,000시대 열어
반도체·바이오·배터리·플랫폼 등
3,000시대엔 신성장 산업이 대세


코스피지수가 장 중 3,000을 넘어선 것은 국내 증시가 전통적인 제조업 중심에서 신규 성장 산업으로 재편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코스피 1,000포인트 시대를 열었던 지난 1980년대 증시가 은행주 중심이었다면 대형 가치주들이 주도했던 2,000포인트 시대를 넘어서 이제는 반도체·2차전지·배터리·인터넷·전기차가 증시의 중심에 섰다. 증시가 산업구조 재편을 고스란히 반영한 셈이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가 1,003.31을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1,000포인트 시대를 열었던 1989년 3월 31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컸던 종목은 포항제철이었다. 다음으로 한일은행·제일은행·서울신탁은행·한국상업은행·조흥은행이 자리해 시가총액 2~6위가 모두 은행주였다. 현대모비스(012330)가 각각 8위와 10위를 차지하고 있다. 코스피지수 3,000포인트 시대를 연 것은 소위 4차 산업으로 분류되는 신성장 기업인 셈이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스피지수가 3,000포인트를 돌파한 것은 결국 산업구조의 변화를 반영한 것”이라며 “기업들의 성장성을 비추는 거울이 주식시장임을 고려하면 지금 형성된 종목은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성호기자 junpark@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