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서초사옥./사진제공=삼성전자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부회장이 18일 뇌물공여 등의 혐의로 구속되면서 삼성그룹 전체 해외사업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비리 기업’ 낙인이 찍혀 브랜드 이미지와 글로벌 지위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컨설팅기업 인터브랜드가 발표한 ‘2020년 글로벌 100대 브랜드’ 평가에서 브랜드 가치가 전 세계 5번째, 국내 기업 1위를 기록했다. 2000년 43위를 시작으로 20년동안 괄목한 만한 성장을 보여줬다.
이처럼 어렵사리 쌓아온 브랜드 이미지가 추락하는 것은 한순간이다. 폭스바겐은 인터브랜드의 2014년 평가에서 31위를 기록했지만 디젤게이트에 휘말리면서 브랜드 순위가 2015년 35위, 2016년 40위로 내리 하락했다.
삼성도 이 부회장의 재구속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각인돼 브랜드 가치가 훼손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미 삼성전자는 특검 수사가 한창이던 지난달, 스위스 다보스 포럼이 발표하는 ‘글로벌 지속가능 경영 100대 기업’ 명단에서 4년 만에 처음으로 빠지는 아픔을 겪었다.
이 부회장의 구속이 경쟁사에 좋은 공격의 빌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삼성이 미국의 ‘해외부패방지법(FCPA·Foreign Corrupt Practices Act)’ 적용 대상이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FCPA는 미국 기업이 해외 공무원에게 뇌물을 주거나 회계 부정을 저지르는 것을 처벌하기 위해 미국 정부가 1977년 제정한 법이다. 미국 증시에 상장돼 있거나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공시하게 돼 있는 기업 또는 기업의 자회사가 적용 대상이다. 삼성전자는 미국 상장 기업은 아니지만 2008년 해외부패방지법 개정으로 법 적용 범위가 확대돼 제재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만약 FCPA 제재 대상으로 확정되면 과징금을 내야 하며, 미국 연방정부와의 사업이 금지되는 등 미국 내 공공 조달사업에서 퇴출당하게 된다.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 영국, 브라질 등 여러 국가에서도 유사한 형태의 강도 높은 부패방지법을 적용하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삼성이 향후 국제기구나 공공기관 입찰에서 배제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변수연기자 diver@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