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0.1% 고소득자 소득이 하위 628만명 합친 것보다 많아"

양경숙 의원, 근로·종합소득 합산액 천분위 분석

상위 0.1% '초고소득층'이 한 해 벌어들인 돈이 하위 26% 인구의 소득을 전부 합친 것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2019년 통합소득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상위 0.1%에 해당하는 2만4천149명의 통합소득은 36조6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


1인당 평균 15억1천658만원이다.


통합소득은 근로소득과 종합소득(사업소득, 금융소득, 임대소득)을 합친 소득으로 개인의 전체 소득으로 볼 수 있다.


2019 귀속 상위 0.1%의 통합소득 점유율은 4.19%로 2018년보다 0.04%포인트(p) 커졌다. 이들의 통합소득은 하위 26% 약 628만의 통합소득 합산액(34조5천538억원)을 웃돌았다.


상위 1%에 속하는 24만1천494명의 통합소득은 총 98조159억원으로 1인당 평균 4억587만원이다.


상위 49∼50% 중위구간 24만1천494명의 소득은 평균 2천508만원으로 파악됐다.


상위 0.1%와 1%의 1인당 평균 통합소득은 중위구간의 각각 60배와 16배나 된다.


통합소득을 소득 종류에 따라 천분위로 나눠 비교하면 배당소득과 이자소득 같은 금융소득에서 상위층 쏠림 현상이 더 극심했다.


근로소득 상위 0.1%의 소득 비중은 2.05%이지만 배당소득과 이자소득은 상위 0.1%가 각각 47.00%와 17.43%를 차지했다.



1일 서울 중구 명동거리가 스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재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2주간 연장된 가운데 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직원을 고용한 자영업자들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22년 만에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영업자는 지난해 7만 5천명이 줄어들어 연평균 총 553만 1천명이었다. 외환위기 직전인 1994년(537만 6천명)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성형주기자 2021.02.01



/세종=박효정 기자 jpark@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