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軍 '무차별 총격' 비판에도 '모르쇠'…유혈사태 더 악화하나

군경, 시위대 향해 무차별 발포…최소 2명 숨지고 수십명 부상
페이스북, "폭력 조장" 군정 페이지 삭제…국제사회 비판 잇달아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에서 20일(현지시간) 시민들이 쿠데타 규탄 시위 중 총에 맞아 숨진 여성 먀 뚜웨 뚜웨 카인(20)을 추모하며 피격 현장의 추모소에 꽃과 촛불을 놓고 있다. 카인은 머리에 총을 맞아 뇌사 상태에 빠진 지 열흘만인 전날 숨졌다. 카인은 이번 시위 참가자 중 첫 희생자다./EPA연합뉴스

미얀마에서 쿠데타 규탄시위 도중 군경의 무차별 총격에 목숨을 잃는 사건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군정이 국제 사회의 제재 움직임은 물론 폭력진압 비판에도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어 유혈사태가 더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1일 현지 매체 및 외신에 따르면 전날 밤 최대 도시 양곤에서 민간 자경단 한 명이 총에 맞아 숨졌다. 자유아시아방송(RFA) 버마어판은 경찰이 이 자경단을 쐈다고 보도했지만,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SNS에도 군정이 인터넷을 차단하기 전 전날 밤 자경단 한 명이 총에 맞아 숨졌다는 글들이 이어졌다.


양곤 등 주요 도시에서는 군경이 쿠데타 반대 활동가들이나 불복종시위 참여자들을 야간에 납치하는 사례가 빈발하자, 주민들이 자경단을 구성해 이를 막는 상황이다. 앞서 전날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는 군경이 쿠데타 규탄 시위대를 향해 무차별 발포, 최소 2명이 숨지고 수 십명이 부상했다. 시위대에 총을 쏜 군대는 2017년 로힝야족 학살사건에 연루된 제33 경보병 사단 소속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일 수도 네피도에서 시위 도중 경찰 실탄에 머리를 맞고 뇌사 상태에 빠졌던 한 명도 지난 19일 결국 숨졌다. 쿠데타 이후 처음 발생한 시위 참가자의 사망이었다.


군정은 시민불복종 운동 및 시위 참여를 선동했다는 이유로 수배령을 내렸던 6명 중 한 명인 배우 루 민도 자택에서 체포했다고 외신이 전했다. 루 민의 부인은 남편 페이스북에 올린 영상에서 "경찰이 양곤 집으로 와 강제로 문을 열더니 남편을 데리고 갔다"면서 "남편을 어디로 데려가는지 말해주지 않았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21일 오전 1시께 미얀마 인터넷 접속률이 평소의 14% 수준으로 떨어진 모습이다./넷블록스 트위터 캡처

미얀마 정치범지원협회(AAPP)는 1일 쿠데타 발발 이후 전날까지 569명이 군정에 의해 체포됐다고 밝혔다. 이런 보도 및 SNS상의 주장에 대해 미얀마 군정은 어떠한 확인도 해주지 않고 있다고 외신이 전했다. 군정은 그러면서 이날 오전 1시부터 9시까지 일주일째 인터넷 차단 조치를 이어갔다.


군경의 유혈 진압에 대해 미국과 유럽 등 국제사회의 비판이 이어진 가운데 수치 고문이 이끄는 민주주의 민족동맹(NLD)도 성명을 내고 만달레이에서 발생한 폭력 진압은 반인륜 범죄라고 비난했다. 또 페이스북은 이날 성명을 내고 군사정부 홍보매체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삭제했다. 페이스북은 성명에서 "군정의 홍보매체 페이지가 폭력을 선동하고 위해를 끼치는 행동을 금지하는 페이스북의 방침을 반복해서 어겼다"고 삭제 이유를 설명했다.



소수민족 무장단체 대표들이 쿠데타 대응 방안을 화상 회의를 통해 논의 중이다./미얀마 나우 캡처

전날에는 과거 미얀마 정부와 휴전 협정을 체결했던 미얀마 내 10개 소수민족 무장단체 들이 쿠데타 군사 정권에 반대하며, 군정 타도를 위한 노력을 지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현지 매체 미얀마 나우가 전했다.


이런 가운데 이날도 양곤 등에서 16일째 쿠데타 항의 시위가 벌어졌다. 양곤의 유엔 사무소 앞에서는 시위대가 유엔의 개입을 촉구했다고 현지 매체 이라와디가 전했다. 전날 2명이 군경 총에 맞아 숨진 만달레이에서도 오전 의대 학생 등 시위대가 쿠데타 및 유혈 진압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고 외신은 전했다.


미얀마 군부는 작년 11월 총선에서 심각한 부정이 발생했음에도 문민정부가 이를 제대로 조사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1일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았다.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