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수출 7,000억달러 달성...바이오헬스 등에 5조원 투자"

정부, 무역금융 20조원 공급

정세균(오른쪽) 국무총리가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4차 확대무역전략조정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이 날 회의에는 구자열(왼쪽) 신임 한국무역협회장 등이 참석했다./연합뉴스

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20조 원 이상의 무역 금융을 공급하고 차세대 유망 수출 품목을 키우는 데 5조 원을 투입한다. 특히 바이오헬스 분야에 집중 투자해 우리나라 연간 수출 규모를 현 5,000억 달러대에서 7,000억 달러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부는 10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제4차 확대무역전략조정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미래 성장동력 확충 및 무역구조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바이오헬스 분야 혁신 신약 및 의료기기 개발에 1조6,0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 연구개발(R&D), 환경규정, 인증 등 제도를 기업 친화적으로 개선해 기업 부담을 줄이는 한편 민간펀드 조성 등을 통해 유망기업에 대한 투자 여력도 확대한다. 잠재력이 높은 의료·헬스케어, 콘텐츠, 디지털서비스, 에듀테크, 핀테크, 엔지니어링 등 6대 'K-서비스'에는 20조 원 이상의 무역 금융을 공급한다.


유망 서비스별 특화 투자도 확대한다. 내년에는 1,500억원을 들여 콘텐츠 모험투자펀드를 조성하고 2025년까지 3,000억원을 투입해 핀테크 혁신펀드를 마련할 예정이다. 동시에 대외무역법을 개정해 서비스무역의 대상을 전 업종으로 확대하고 별도 지원 규정을 신설한다.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플랫폼 확충을 위해선 한국무역협회를 중심으로 1,500억원 규모의 수출혁신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최적의 무역 정보와 사업을 추천하는 '무역투자 24'를 하반기 중 구축하고, 코트라의 'K-스튜디오'를 현 10개소에서 연내 20개소까지 늘리는 등 디지털 무역 전환 지원책도 시행한다. 이밖에 수출입 물류 현안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민관합동 협의체를 상반기 중 구성한다.


/세종=김우보 기자 ub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