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확률 조작 논란' 공정위로 간다

게임 ‘확률 조작 논란’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가 시작됐다. 게임 업계는 지난 2018년 비슷한 확률 문제로 공정위 과징금을 부과받았던 ‘원죄’가 있다. 각 사가 확률을 공개하며 ‘1등 없는 로또’가 실제했음이 드러난 만큼, 이번 공정위 조사에서도 법적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따른다.




16일 하태경 국민의 힘 의원실은 “확률장사 5개 악덕 게임 자체 조사를 마치고 결과를 공정위에 접수했다”고 밝혔다. 하 의원은 지난 2일 리니지(엔씨소프트), 메이플스토리·던전앤파이터·마비노기(넥슨), 모두의 마블(넷마블) 5개 게임을 ‘5대 악덕 게임’으로 규정하고 공정위 조사를 요청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 의원실은 자체 조사를 통해 ‘1등 없는 로또’라고 비판 받은 메이플스토리 ‘큐브’ 논란과 유사한 사례를 3가지 추가 발견했다. 각각 마비노기의 세공 시스템·자이언트 종족 아이템과 리니지의 숙련도 시스템이다. 하 의원실은 “마비노기 세공 시스템에서 한 게이머가 1,000회 이상 실험을 한 결과 최상이 능력이 단 한번도 나오지 않는 사례가 9개 중 7개 있었다”며 “자이언트 종족만 착용할 수 있는 아이템은 유로 재화로 뽑아야 하는데, 상황에 따라 확률이 달라진다는 의혹이 넥슨 자체 조사 결과 사실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하 의원실은 이어 “리니지에서도 한 게이머가 600회에 걸쳐 숙련도 시스템을 실험한 결과 특정 능력이 단 한번도 나오지 않아 ‘확률 0%’로 의심된다”며 “뽑기 과정에서 적게는 수백만 원에서 많게는 수억 원의 돈이 들어 확률 조작 의혹으로 인한 피해가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 의원실은 확률 조작 의심 사례와 함께, 기존에 공개된 확률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게 만드는 행위도 고발했다. 게임사들은 확률 정보를 쉽게 검색하지 못하도록 그림 파일로 제공하거나, 최대한 웹페이지를 숨기고 있다. 하 의원실은 “21개 소비자 권익 침해 행위를 유형별로 정리해 공정위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하 의원실은 끝으로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GSOK)와 3대 게임사(넥슨, 엔씨소프트, 넷마블)에 자료를 협조를 요청했으나 GSOK는 자료 제출을 거부했다”며 “그동안 산업 보호라는 허울 좋은 명분에 숨어 소비자를 우롱한 대가를 한꺼번에 치러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윤민혁 기자 beherenow@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