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동불편 75세 이상은 6월 이후 접종"…AZ·얀센백신 맞을 수도

정부 "접종 희망 여부 조사 후 대상 규모 결정"

정부는 거동 불편 등의 이유로 예방접종센터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을 수 없는 만 75세 이상 고령층은 6월 이후에 백신을 접종받게 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정부는 거동 불편 등의 이유로 예방접종센터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을 수 없는 만 75세 이상 고령층은 6월 이후에 백신을 접종받게 된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18일 참고자료를 통해 "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받을 수 없는 75세 이상 연령층에 대해서는 별도 접종방안이 필요하다"면서 "시설방문, 보건소 접종 등 방안을 마련하고 시기는 만 65세 이상 접종이 실시되는 6월 이후에 접종을 받게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2분기 접종계획에 따르면 만 75세 이상은 다음 달부터 화이자 백신을 지역별 예방접종센터에서 맞게 된다. 화이자 백신은 영하 70도 안팎의 극저온에서 보관·유통해야 하지만, 해동 이후에는 일반 냉장고 온도인 2∼8도에서 최대 5일간 보관이 가능하다. 예방접종센터가 아닌 곳에서 접종을 받는 만 75세 이상은 이렇게 해동한 화이자 백신을 접종받게 된다.


또 냉장유통이 가능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을 수도 있다. 2분기에 얀센(존슨앤드존슨), 노바백스 백신 등도 도입되는 만큼 이런 제품을 접종받게 될 가능성도 있다.


질병청은 현재 만 75세 이상을 대상으로 접종 희망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 질병청은 "조사가 종료되면 예방접종센터를 이용하지 못하는 대상자 규모가 함께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신원 인턴기자 shin01@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