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매미나방 피해 최소화에 총력…맞춤형 방제 추진



경기도가 올해 매미나방으로 인한 피해 최소화를 위해 산림청, 시군 등과 함께 다각적인 방제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라고 29일 밝혔다.


매미나방은 성충의 경우 날개를 편 길이가 41~93mm로 전체적으로 회갈색을 띠고 4개의 담흑색 가로띠가 있다. 식엽성 해충으로 나무를 고사시키지는 않지만, 유충이 잎을 갉아 먹어 수목에 큰 피해를 준다.


지난해 여름 매미나방의 개체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도심환경의 미관훼손과 산림지역 수목 피해 등 심각한 피해를 본 바 있다.


피해원인은 기후변화에 따른 동절기 기온상승으로 개체 수가 급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올해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매미나방 월동난 부화율이 84.1%으로 나타남에 따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도는 지난해 피해 지역인 군포·파주 등 7개 시군을 중심으로 NFC전자예찰함 15개를 설치해 월동난 유충 부화시기를 매일 모니터링 하고, 산림병해충예찰단을 활용하여 월동난 제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지난 24일 군포에서 매미나방 월동난 유충의 첫 부화가 관찰됨에 따라 시기별 적기방제 조치요령을 각 시군에 전파해 시행토록 했다.


도와 각 시군은 매미나방 시기별 적기방제 조치 요령에 따라 유아등, 페로몬트랩, 방제(살수)차 등을 활용한 물리적 방제를 시행한다. 이와 함께 고지톱 끌개, 쇠솔 등을 활용한 월동난 제거 등 친환경 방제를 추진하는 등 매년 개체 수를 줄이는 데 온 힘을 다할 계획이다.


이성규 경기도 산림과장은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심신이 지친 도민 분들의 쾌적한 산행을 위해 해충방제, 산불예방 등 건강하고 안전한 산림환경을 제공하겠다”며 “등산 중 매미나방 등 돌발해충 발견했을 경우 바로 가까운 산림부서에 연락해달라”고 당부했다.


/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