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급식 문열렸지만 중소 업체엔 '그림의 떡'

대형설비 갖춘 업체 사실상 전무
물류·인력도 단기간 확보 어려워
서비스질 저하·이원화 등 불보듯

공정거래위원회가 대기업 단체급식 시장의 개방을 선언하고 경쟁입찰을 강제했지만 정책 의도대로 중소 업체가 ‘과실’을 가져가지 못할 것이란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대형 설비를 갖추고 ‘1,000식(食)’ 이상의 대형 급식을 운영할 수 있는 중소 업체가 사실상 전무한데다 지방 사업소나 연구소, 건설 현장 등에 수십 명 이상의 조리인력을 확보하는 것부터 어렵기 때문이다. 아울러 중소업체가 급식 사업권을 따내더라도 서비스 질 저하, 원가 상승 등의 부작용도 나타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7일 공정위의 단체 급식 개방 조치에 대한 급식업계의 분석을 종합해보면 상생의 방침에는 공감 한다면서도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주를 이룬다. 급식업계 관계자는 “대형 급식 사업소의 경우 조리 설비 구축 등에 많은 투자가 진행돼야 한다”며 “당장 기존 급식업체가 자신들의 자산인 설비를 빼서 나간다면 중소업체는 대형 설비투자부터 자금 압박을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물류, 인력 역시 당장은 중소업체가 감당하기 힘들다는 주장도 나온다. 또 다른 급식업계 관계자는 “지방의 경우 대형 급식을 하기 위해서는 물류 체인이 잘 갖춰져야 한다”며 “물류 체인 확보는 단 기간에 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방에서 조리 인력을 채용하는 것도 힘들다”며 “지방 급식 사업장의 경우 기피 근무처라 대기업에서도 인력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중소업체가 급식 사업권을 따내더라도 기존 대형 급식업체의 기존 인프라를 이용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이원화가 돼 원가 상승, 급식 가격 인상 등으로 이어질 공산도 크다. 일각에서는 결국 수의 계약에서 경쟁입찰이 됐지만 당장 경쟁력이 떨어지는 중소업체에 기회는 돌아가지 못하고 대형 급식업체끼리의 경쟁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급식을 이용하는 직장인들의 불만도 크다. 급식은 사내 복지 관점으로도 접근할 필요가 있는데, 급식 선택권까지 정부가 강제하는 것은 과도한 규제라는 반응이다. 중소업체 선정에 따른 급식 서비스질 저하 등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정국에서 재택근무와 원격수업이 활성화되면서 가뜩이나 ‘식수’가 줄어들어 고민이 깊던 대형 급식업체는 안정적인 공급처가 사라지게 돼 ‘이중고’를 겪게 됐다는 불만도 크다. 급식업계 관계자는 “주52시간 실시, 최저임금 상승 등으로 인해 식수가 줄고 영업이익률은 감소하는 추세였다”며 “코로나19에 더해 계열사 급식까지 개방 돼 향후 사업 전망은 더 어둡다”고 토로했다. 실제 삼성웰스토리와 CJ프레시웨이, 신세계푸드와 현대그린푸드 등 주요 급식 업체 4개사의 지난해 합계 매출은 8조 9,300억원 수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줄었고 영업이익은 1,819억 원으로 43.6% 급감했다.


/박형윤 기자 manis@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