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물가 상승 너무 빨라"…한은 '인플레 확산' 경고

"물가 오름세 빨라져…예의주시"



빠른 백신 접종과 함께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추진 중인 미국의 인플레이션 확산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한국은행이 11일 경고했다.


한국은행 뉴욕사무소가 이날 발표한 ‘최근 미국 물가 여건 점검 및 전망’에 따르면 미국 물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상황이 개선되고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오름세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2월 1.7%로 지난해 11월의 1.1% 대비 0.6%포인트 상승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중시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역시 지난해 11월 전년 동월 대비 1.1% 오르는 데 그쳤지만 올 2월에는 1.6% 상승했다. 개인소비지출 물가는 가계 부문 전체 지출에서 산출돼 소비자물가보다 좀 더 폭넓은 지표라고 평가된다.


에너지 가격이 물가 상승을 주도하는 가운데 식료품비와 외식비 등은 꾸준히 오르는 모양새다. 특히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전년의 하락에 따른 반사 효과와 ‘보복 소비’ 증가 등으로 향후 몇 달간 오름세가 확대될 것으로 관측됐다. 미국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저축률은 1월 20.5%로 크게 높아져 소비 여력이 큰 상황이다.


이에 따라 향후 미국의 인플레이션 발생 확률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고 인플레이션 불확실성 수준도 올 들어 높아졌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보면 수요의 경우 경기부양책에 따른 소득 기반 강화와 자산 가격 상승 등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숙박·항공 등 대면 경제활동이 여전히 제약을 받아 서비스 가격 상승 압력은 크지 않은 상태다. 하지만 공급 측면에서는 원유·금속·반도체 등 주요 원자재와 부품 가격이 최근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수입 물가도 올 들어 오름세로 돌아선 상태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코로나19 진행 상황과 원자재 값 동향, 재정 지출 시기 등 다수의 불확실성이 있어 서비스 부문의 회복과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 변화 등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