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스케이프 상장과 같다는 코인베이스, 그리고 연준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

코인베이스가 14일(현지 시간) 나스닥에 직상장했다. /UPI연합뉴스

14일(현지 시간) 미국 증시는 기술주 약세에 나스닥이 1% 가까이 빠졌습니다. 반면 은행주는 선방했죠.


이날 시장의 관심은 무엇보다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의 나스닥 직상장이었습니다. 전날 준거가격이 주당 250달러로 책정됐지만 이날 381달러로 시작해 한때 429달러까지 치솟았는데요. 시가총액도 1,120억 달러에 달했죠. 그 뒤로 힘이 빠지면서 328.81달러로 마감했습니다.


시장의 관심이 컸던 만큼 오늘은 코인베이스에 대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을 전해드립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바라보는 암호화폐와 향후 긴축 관련 내용도 살펴보겠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에 매우 중요한 날”…주류로 가는 분수령

마이클 노보그라츠 갤럭시 디지털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미 경제 방송 CNBC에 “코인베이스의 상장은 암호화폐 시장에 있어 넷스케이프 상장 때와 같다”고 했습니다.


넷스케이프는 한때 점유율 90%를 기록할 정도로 한 시대를 풍미한 웹 브라우저입니다. 지금은 익스플로러나 크롬, 파이어폭스를 사용하지만 인터넷 초창기만 해도 넷스케이스가 절대적이었죠. 넷스케이프는 1995년 8월 상장했습니다. 공모가가 14달러로 시작해 장중 75달러까지 치솟았죠.


노보그라츠의 말은 그만큼 코인베이스의 상장이 암호화폐가 제도권 시장으로 진입하는 중요한 순간이라는 얘기입니다. D.A. 데이비슨의 길 루리아 애널리스트는 “일단 시가총액 1,000억 달러 규모의 회사가 암호화폐를 사고 파는 일을 계속하면 사람들은 (암호화폐가) 진짜라고 믿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는데요.



코인베이스의 수익 96%는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 거래수수료에서 나온다. 암호화폐 가격 변동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2012년 설립된 코인베이스는 비트코인을 포함해 50개가량의 암호화폐를 거래합니다. 전 세계 100개국에서 5,60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두고 있습니다.


그런 코인베이스의 수익구조는 거래수수료입니다. 순이익의 96%가 이용자가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를 거래할 때 빋는 수수료에서 나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00달러어치의 암호화폐를 사면 3.49달러를 떼갑니다. 경쟁업체인 크라켄은 1.50달러, 비트스탬프는 50센트인데요. 상대적으로 수수료가 높은 편입니다.


그래서 비트코인의 가격등락이 회사의 경영지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비트코인의 하락기였던 2019년에는 약 3,000만 달러의 손실을 봤죠. 반면 지난해에는 실적이 좋았는데요. 전체 매출액이 12억8,000만 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했고 3억2,230만 달러 이익을 내 흑자전환했습니다. 그만큼 변동성이 클 수 있다는 뜻입니다.


“미국 등 주요국 디지털화폐 만들 것…이메일 있어도 우편 많이 쓴다”

코인베이스의 운명은 주로 비트코인에 달려 있습니다. 코인베이스에 투자하면 암호화폐 전반에 투자하는 효과가 있긴 하지만 어쨌든 비트코인의 비중이 크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것은 규제 가능성입니다. 당장 각국 암호화폐에 대한 각국 정부의 규제가 강화될 수 있고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은 중앙은행이 디지털화폐를 발행할 예정입니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만 해도 비트코인이 매우 투기적 자산이라며 돈세탁 같은 불법적인 일에 연루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한 바 있는데요. 디지털화폐가 나오면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들이 설 자리를 잃을 것이라는 예상도 많습니다.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CEO는 암호화페와 각국 중앙은행이 발행할 디지털화폐를 이메일과 우편에 비유했다. 공존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CNBC 방송화면 캡처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CEO의 생각은 어떨까요. 그는 이날 정부의 규제에 대한 질문에 “전 세계의 중앙은행들이 디지털화폐를 만드는 것을 고려하고 있으며 미국도 디지털화폐를 갖게 될 것”이라며 “우리는 이같은 각국의 노력을 도울 수 있어 기쁘다”고 했습니다. 원론적인 답변인데 어쨌든 그도 디지털화폐가 부상할 것이라는 점은 잘 알고 있다는 것이죠.


대답은 이어집니다. 암스트롱 CEO는 “인터넷이 처음 등장했을 때 많은 정부들이 통제력을 잃을까 불안해했다. 하지만 자유세계 국가들은 인터넷을 받아들였고 기업들에 큰 이점이 됐다”며 “암호화폐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질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메일이 처음 나왔을 때 사람들은 이메일이 기존 우편을 모두 대체할 것이라고 했지만 그렇지 않았다”며 “종이 우편은 10년 전보다 더 많이 발송됐다”고 했습니다.


즉 국가차원의 디지털화폐가 나와도 암호화폐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디지털화폐를 보완하면서 공존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는 암스트롱 CEO 개인 생각이기는 합니다. 미국 정부와 연준이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더 중요하죠. 칼자루는 이곳에서 쥐고 있으니까요. 그는 중단기적으로는 수수료 압력이 없을 것이라고 해 지금의 수준을 유지할 것임을 시사하기도 했습니다.


파월, “암호화폐는 투기수단…2022년 이전에 금리인상 가능성 거의 없어”

하지만 파월 의장은 이날도 암호화폐에 대한 공격을 이어갔습니다. 그는 이날 “암호화폐는 정말 투기를 위한 수단”이라며 “그것은 실제로 지불 수단으로는 활발히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는데요. 코인베이스가 나스닥에 직상장 한 날, 투자자들에게 보낸 신호라고 볼 여지가 있습니다.


파월 의장은 긴축과 금리인상에 대한 언급도 했습니다. 그는 “2022년 이전에 금리를 인상할 것 같지 않다”고 했는데요.



제롬 파월 연준 의장. /AP연합뉴스

주목해야 할 것은 지금까지 연준이 계속해서 결과 중심의 통화정책을 펴겠다고 했는데 최근 들어 자꾸 시기에 대한 언급을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2% 이상의 인플레이션이 상당 기간 지속하고 고용시장이 회복했다는 증거를 본 뒤에 움직이겠다는 점을 수차례 밝혀왔던 연준이죠. 이 때문에 올해 금리 인상이 없느냐는 질문에 “나는 시간을 바탕으로 답변하지 않는다”고 해왔던 파월 의장입니다.


그랬던 것이 최근 들어 자꾸 시점을 얘기하고 있는 겁니다. 이는 시장을 안정시킬 필요성이 더 커졌다는 말로 긴축이 가까워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파월 의장은 “금리인상 전에 채권매입을 축소할 것”이라고도 했는데요. 시장과의 의사소통 내용이 하나씩 늘어나고 보다 구체적으로 변하고 있다는 점, 유념해야겠습니다.







/뉴욕=김영필 특파원 susop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