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도 '관피아' 늘어나나IT기업, 전직 관료 앞다퉈 영입

시진핑 테크기업 규제 반작용
알리바바·텐센트 등 임원 채용
반독점 당국 출신 선호도 높아

최근 중국 규제 당국 공무원이나 판사 등 전직 고위 관료들이 중국 정보기술(IT) 대기업에 재취업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진핑 정부가 자국 ‘테크 자이언트’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자 그 반작용으로 기업들이 공무원 출신 인사 영입에 적극적이라는 것이다. 중국판 ‘관피아(관료+마피아)’가 증가할 조짐이 뚜렷하다는 관측이다.


21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최근 중국 최대 전자 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를 비롯해 게임·온라인 메신저 기업 텐센트, 동영상 서비스 ‘틱톡’ 운영사인 바이트댄스 등이




전직 관료들을 자사 임원으로 영입했다. ‘중국판 우버’로 알려진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 디디추싱, 음식 배달 플랫폼 메이퇀뎬핑도 전직 관료를 채용한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 전직 관료는 기업 규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기관 출신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가장 인기가 높은 이들은 중국 반독점 규제 당국인 시장감독관리총국 출신들이다. 실제 시장감독관리총국 부국장을 지낸 한 인사는 퇴임 후 지난 2019년부터 알리바바 경쟁정책연구센터를 이끌고 있다. 이달 독점 규제 위반 혐의로 사상 최대인 182억 2,800만 위안(약 3조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알리바바가 2년 전부터 시장감독관리총국 출신을 뽑아 규제 강화에 대비하고 있었던 셈이다. 이 밖에 텐센트와 바이트댄스·메이퇀뎬핑도 시장감독관리총국 출신 인사들을 줄줄이 영입했다.


판결로 기업 ‘생살여탈권’을 쥐고 있는 판사들이 IT 대기업으로 이동한 사례도 있다. 항저우 중재법원 출신 판사는 알리바바 금융 자회사인 앤트그룹의 법률고문으로 이동했으며 텐센트 선임변호사도 난산지방법원에서 14년간 근무한 판사 출신이다.


사실상 모든 기업이 국영기업이라는 말까지 있는 중국에서 관료가 임원으로 오거나 아예 회사를 차리는 일은 빈번하다. 미국 듀크대 연구에 따르면 중국 상장사 임원, 이사회 이사 가운데 부처 근무 이력이 있는 사람의 수는 20년 전인 1999년 99명에서 2019년 4,800명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2001년 이후 중국 경제가 급격히 글로벌화되면서 이른바 관피아로 분류될 수 있는 인사도 크게 증가했다. 특히 최근에는 글로벌 시장에서 위상이 커지고 있는 IT 업계로 관료 출신들이 몰리고 있다. 이 경우 연봉이 공직 시절보다 최대 6배 이상 뛰는 것으로 알려졌다.


FT는 기업 입장에서도 관피아 효과를 누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알리바바의 경우 과징금 액수가 시장의 예상보다 적었는데 영입된 관 출신 인사가 모종의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조양준 기자 mryesandn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