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층, 치매 위험 줄이려면 7시간은 자야

6시간 이하땐 치매 확률 30%↑


중년층이라면 수면 시간을 최소 6시간 이상 확보해야 치매에 걸릴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세브린 사비아 프랑스 국립보건의학연구소 박사 등 유럽 공동연구팀은 21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50세나 60세에 수면 시간이 6시간 이하라면 7시간 이상인 경우보다 치매 위험이 30% 높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1985년부터 영국인 7,959명의 건강 상태를 25년간 조사한 유니버시티컬리지런던(UCL)의 화이트홀Ⅱ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중 연구 기간에 치매에 걸린 사람은 521명이었다. 치매 진단 시기는 53.4~87.6세에 걸쳐 있으나 평균 77.1세였다.


분석 결과 50세와 60세 때 수면 시간이 6시간 이하인 사람은 7시간 이상인 사람보다 치매 위험이 더 높았다. 50세부터 70대까지 수면 시간이 일관되게 6시간 이하로 짧으면 7시간 이상 수면한 경우보다 치매 위험이 30%나 높았다.


더크 잰 디지크 영국 서리대 서리수면연구센터장은 “짧은 수면이 치매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고 이 연관성은 우울증 같은 치매 위험 요인을 참작해도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다만 수면 시간뿐 아니라 수면 생리의 영향에 대해서도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그동안 짧은 수면 시간뿐 아니라 지나치게 긴 수면 시간도 치매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