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병사 대신 작전 지역 최전방에서 수색·정찰·경계 등의 임무를 수행할 무인수색차량의 핵심기술 확보에 성공했다.
방위사업청은 무인수색차량 탐색개발이 지난 21일 성공적으로 종료됐다고 22일 밝혔다. 방사청은 “탐색개발 기간 동안 차량 설계, 성능시험, 운용성 확인을 통해 무인수색차량에 대한 핵심기술을 확보하여 체계개발단계로 진입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약 4년간 체계개발 단계를 거쳐 2026년 무렵부터 배치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지급 받는 부대는 기계화보병사단과 기갑여단의 기갑수색 부대다.
무인수색차량은 지난 2018년 10월부터 국방과학연구소(ADD), 한화디펜스 등 여러 방위산업체들과 협력해 탐색개발 수순을 밟아왔다. 탐색개발의 마지막 관문인 ‘운용성 확인’절차는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간 육군 시험평가단 주관으로 진행됐다. 운용성 확인 결과 작전운용성능과 군 운용 적합성, 전력화지원요소 등 총 60여 항목에 대한 평가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방사청은 소개했다.
무인수색차량은 자율주행 기능을 갖췄다. 한화디펜스에 따르면 경로주행, 장애물탐지 및 정지·회피, 통신단절시 계획경로 기동 등의 자율주행 모드가 있다. 이와 더불어 통제차량의 원격조종을 받으면서 주행하는 종속주행 모드도 적용된다.
무인수색차량에 적용되는 자율주행의 구체적인 기술수준은 비공개다. 다만 사업내용을 잘 아는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최소한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수준의 기술을 구현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향후 개발과정에서 더 진화할 가능성도 있다. 방사청은 무인수색차량의 자율주행 기술에 대해 야지, 험지와 같은 우리나라 지형에 적합하도록 독자 개발했다고 전했다. 또한 “일반도로뿐만 아니라 전술도로에서도 계획된 기동로를 자율주행 가능하다”고 소개했다. 이어서 “충돌 방지 및 충돌 회피 기능을 구현하여 지형지물 및 이동 장애물과 충돌 없이 목표 도달이 가능하고, 통신이 단절된 상황에서 자율 복귀 또는 계획된 경로 자율주행이 선택적으로 운용 가능하다”고 밝혔다.
무인수색차량에 탑재된 감시장비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다. 주·야간 다중 표적 탐지기능, 단일표적 정밀추적 기능 등도 구현된다. 예를 들어 전방지역에서 경계임무 중 이상물체가 포착되면 해당 물체의 이동에 따라 세밀하게 추적감시를 할 수 있다는 의미다.
무인수색차량은 6X6륜형 독립구동 방식으로 제작됐다. 제자리에서 방향전환 가능해 좁은 길에서도 선회 가능하다. 동력은 엔진 발전기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직렬형 하이브리드 방식이다. 따라서 충전된 전기로 구동시엔 마치 전기차처럼 엔진소음 없이 정숙 주행을 할 수 있다.
무인수색차량에는 경량형 원격사격통제체계(RCWS)가 적용되는 기관총 등이 탑재된다. 해당 RCWS는 무인수색차량과 짝을 이뤄 개발되는 통제차량에서 조종할 수 있다. 기관총 사격은 AI가 아닌 원격제어를 통해 이뤄진다. 현재 기술로도 충분히 AI를 통한 자동사격통제를 할 수 있지만 아직 인명을 살상할 수 있는 무장체계를 AI로 자동화하는 것에 대해선 전세계적으로 윤리적인 문제가 있고, 오발사고의 우려도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무인수색차량을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는 통재차량은 기아자동차가 생산하고 있는 기존의 소형전술차량을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다. 통재차량 1대당 2대씩의 무인수색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무인수색차량은 통제차량 뿐 아니라 짝을 이루는 다른 무인수색차량과도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연계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무인수색차량은 통제차량의 수km 앞에서 자율주행하면서 이상징후 등을 포착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운용될 것으로 보인다.
/민병권 기자 newsroo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