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로 본 정치민심]이재명이 쏘고 송영길이 언급하자 폭발한 '스푸트니크V'

■네이버 트렌드-썸트렌드 분석
이재명·송영길 21일 스푸트니크V 도입 주장
李,宋 언급 후 네이버 검색량 급증...이목 집중
'부작용'우려 가운데 '필요하다'언급량 복합반응

이재명 경기지사에 이어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러시아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백신의 도입을 주장하면서 러시아제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 지사는 지난 21일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최선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미 청와대에 스푸트니크V 도입 검토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같은 날 송 의원도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기존 계약 이외에도 스푸트니크V 백신 도입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플랜B’ 추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도 스푸트니크V 도입이 필요하다는 참모진의 건의에 “그렇게 하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 데이터랩 ‘스푸트니크V’ 검색량 추이 / 자료제공=네이버 데이터랩

이에 스푸트니크V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네이버의 검색량 분석 서비스인 ‘네이버 데이터랩’에 따르면 지난 4월 1일부터 20일까지 일정한 추세를 보이던 ‘스푸트니크V’검색량은 지난 21일부터 급증했다. 여권 유력 대권 후보인 이 지사와 당권 주자인 송 의원이 스푸트니크V 도입을 공론화하면서 트래픽이 증가한 모양새다.


이런 경향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 텍스트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서비스 ‘썸트렌드’에서도 확인됐다. 지난 4월 8일부터 20일까지 평균 93회였던 스푸트니크V의 SNS상 언급량은 21일에는 798회, 22일에는 952회로 급증했다.



썸트렌드 ‘스푸트니크V’ 감정 연관어 분석 / 썸트렌드 캡쳐

같은 기간 썸트렌드의 ‘감성 연관어’를 분석해보면 스푸트니크V에 대한 네티즌들의 반응이 어떤 지 알 수 있다. 썸트렌드는 인스타그램과 트위터, 블로그 등 SNS상의 텍스트를 추출한 뒤 키워드를 ‘긍정’, ‘중립’, ‘부정’으로 구분해 시각화 해준다.


지난 2주간 썸트렌드 감정 연관어 분석에 따르면 스푸트니크V 관련 키워드의 32%는 ‘긍정’, 38%는 ‘중립’, 31%는 ‘부정’적인 단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산 백신에 대한 ‘넷심’은 긍정이나 부정으로 쏠리지 않고 고루 분포한 셈이다. 키워드별로 살펴보면 부정적 감정 연관어인 ‘부작용’의 언급량이 가장 많았다. 이는 최근 우리나라 주력 코로나19 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AZ)에 이어 미국 제약사 존슨앤존슨의 코로나19 백신에서도 혈전증 부작용 사례가 알려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들 백신의 대안으로 스푸트니크V가 언급되거나 스푸트니크V에도 같은 부작용이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하는 과정에서 언급이 많았다. 언급량 5위, 10위를 각각 기록한 감정 연관어 ‘논란’과 ‘우려’도 같은 맥락에서 다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두 번째로 언급량이 많은 감정 연관어는 ‘세계최초’였다. 이는 스푸트니크V가 지난해 8월 러시아에서 승인을 받으며 '세계최초 코로나19 백신' 타이틀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당시에는 임상 3상이 완료되지도 않은 단계에서 러시아가 백신을 승인해 국제사회의 신뢰를 받지 못했다.


분위기는 지난 2월 반전됐다. 스푸트니크V의 코로나19 예방효과가 91.6%에 달한다는 임상 3상 결과가 권위있는 국제 의학 학술지 ‘랜싯’에 실리면서다. 전 세계가 백신 부족으로 시름하던 중이었어서 가격이 저렴하고 효과도 좋은 스푸트니크V가 훌륭한 대안으로 떠올랐다. 현재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럽의약품청(EMA)은 스푸트니크V 승인을 준비 중이다. 의약품 승인에 까다롭기로 유명한 독일도 22일(현지시간) EMA 승인이 떨어지면 스푸트니크V 3,000만 회분을 도입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이런 분위기는 감정 연관어 분석에서도 읽힌다. 긍정 키워드로 순위권에 오른 ‘가능하다’나 ‘승인 받다'는 최근 스푸트니크V가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언급되는 키워드들이다. 중립 키워드인 ‘다양한’과 ‘필요하다’ 역시 현재 공급에 어려움을 겪는 백신 외에 다른 백신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에서 포착되는 단어들이다.





/주재현 기자 joojh@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