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백신 확보” 허언되지 않게 공급·접종 일정 분명히 하라

정부가 화이자와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2,000만 명분 추가 도입 계약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화이자 백신만 지난해 12월 1,000만 명분, 올해 2월 300만 명분에 더해 총 3,300만 명분(6,600만 회분)을 확보했고 다른 백신을 포함하면 총 9,900만 명분을 준비했다는 것이다. 9월까지 국내 인구의 70%에 대한 2차 접종을 마쳐 ‘집단면역’을 조기에 달성하겠다고 했다. 언뜻 백신 계약 물량의 수치만 본다면 한숨을 돌려도 될 듯하다.


그러나 정부가 그동안 여러 차례 백신 계약과 접종 계획을 발표했지만 물량 공급 차질 등으로 허언에 그친 경우가 적지 않았다. 2분기에 예정됐던 모더나 2,000만 명분 도입은 대부분 하반기로 늦춰졌다. 아스트라제네카는 희귀 혈전증 논란으로 접종 대상이 30세 이상으로 제한됐고 얀센도 유사한 부작용 논란에 휩싸였다. 하반기로 예정된 노바백스는 아직 사용 허가를 내준 나라가 없다. 화이자 백신도 지금까지 들여온 게 87만 5,000명분뿐이다. 오죽하면 뉴욕타임스가 한국의 백신 접종 지연에 대해 ‘굼벵이(laggard)’로 전락했다고 꼬집었겠는가. 화이자 백신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면서 수급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유럽연합(EU)과 캐나다가 화이자와 각각 18억 회분, 1억 8,500만 회분의 공급계약을 체결해 타국의 수급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얘기다.


정부는 추가 확보 물량을 발표하면서 “비밀 유지 협약에 따라 구체적인 도입 시기·물량·가격은 말할 수 없다”고 해명했다. 얼마나 빨리 백신을 국내에 들여오는지가 관건이 된 셈이다. 당국은 국민들의 불안 해소를 위해 백신 제조 회사와 공급 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계약하고 국민들에게도 보다 소상히 알려야 한다. 또 조속한 백신 도입을 위해서는 미중 사이에서 줄타기 외교를 하느라 백신 생산과 유통을 장악한 미국을 자극하는 일도 피해야 할 것이다.


/논설위원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