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야, 나라 살리는 노동 개혁에 승부 걸어라

여야의 새 지도부 후보들로부터 노동 개혁에 대한 전향적 메시지가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대표 경선에 나선 홍영표 의원은 최근 발간한 저서 ‘담대한 진보’에서 “노동운동가로서, 협상가로서 평생을 살았다”며 노사 대타협의 필요성을 거론했다. 국민의힘 원내대표 경선 후보인 김기현 의원은 25일 본지 인터뷰에서 “노동권과 경영권은 균형이 맞아야 한다”면서 노동 개혁을 역설했다.


한국 노동시장은 해외의 지적이 잇따를 정도로 병세가 심각하다. 미국 재무부가 최근 발표한 ‘2021년 4월 거시 경제, 환율 정책 보고서’는 한국에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를 권고했다. 캐나다 프레이저연구소는 지난해 한국의 노동시장 규제 관련 경제 자유도 순위를 162개국 중 145위로 낮게 평가했다. 문재인 정부는 미 재무부의 지적을 수년간 흘려듣다시피 해 사실상 노동 개혁 과제를 방치했다. 2018년 11월 이후 이 보고서에서 매번 ‘노동시장 개혁’을 주문받고도 개선 움직임을 보이지 않다가 이번에 한국의 성장 잠재력을 확충하기 위해 청년에 대한 경제적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는 지적까지 받게 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2~12월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는 5.3%나 감소했다. 규제 3법 같은 기업 옥죄기 행보를 멈추고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를 위한 개혁에 속히 착수해야 경제에 활력을 줄 수 있다. 과거 영국·독일 등이 노동 개혁을 통해 경제의 구조적 불황을 극복했다는 사실을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미래의 주역인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유일한 해법은 노동 개혁뿐이다. 다음 달 출범할 여야 새 지도부는 나라를 살린다는 비상한 각오로 노동 개혁에 승부를 걸어야 한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다. 최근 민주당 대표 경선에 나선 일부 후보가 금융노조를 찾아 노사 간 대타협을 언급했다가 “더 이상 여당과 이야기하지 말자”는 핀잔만 들었을 정도로 개혁에 대한 노동계의 반감은 크다. 그래도 여야가 노동 개혁을 향해 뚜벅뚜벅 나아가야 기업을 살리고 청년 일자리도 만들 수 있다.



/논설위원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